‘전북 추석’ 키워드분석 결과, ‘전통시장’, ‘농산물’, ‘상품권’, ‘선물세트’ 등 명절 연관 키워드로 도출

분석 키워드 : 전북 추석
데이터 수집기간: ’14.1.1.∼’17.9.14.(3년간), 빅데이터 공통기반(혜안) 활용
데이터 수집출처 : 뉴스, 블로그·트위터 게시글
‘빅데이터로 보는 전북 ISSUE’ ‘전북 추석편(9월)’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위 검색 키워드로 ‘전통시장(707건)’ 키워드가 가장 많이 검색됐고, ‘귀성객(387건)’, ‘장애인(227건), ‘관광객(199건)’ 등의 키워드가 연관돼 도출되는데 최상위 키워드인 ‘전통시장’은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 전통시장 그랜드 세일, ‘온누리상품권’ 구매 등의 전통시장 활성화 노력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농산물’, ‘상품권’, ‘부모님’, ‘선물세트’ 등 명절과 함께 쉽게 연상되는 다양한 키워드들이 검색됐다.
가중치로 본 연도별 키워드 변화를 살펴보면,지난 ’14년에 명절을 앞두고 주요 은행 및 지자체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특별자금 지원을 하면서 ’14년에 ‘중소기업(54.04점)’ 키워드가 최상위에 랭크됐다.
’14년에 상위에 랭크된 ‘귀성객(30.60점)’ 키워드의 감소와 함께 ’15년부터 ‘관광객(32.91점)’ 키워드가 급부상 했는데, 이는 고향을 방문한 반가운 손님에서 지역의 내수경제에 도움을 줄 ‘소비의 주체’로 보는 인식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또한 ’16년 상위에 랭크된 ‘김영란법’과 ‘선물세트’는 상호 연관어로 작용했는데, 일명 ‘김영란법*‘ 시행에 따라 선물세트의 판매 우려 속에 법 기준에 맞춘 특산물 선물세트 출시 등의 영향으로 높은 가중치를 보였음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16.9.28. 시행)
검색건수로 본 연도별 키워드 변화를 살펴보면, ’14∼’16년에 등장한 ‘장애인’ 키워드는 추석이나 설 명절 전에 다양한 공공 및 민간기관에서 장애인, 노인 등의 복지시설을 방문해 봉사활동, 후원물품, 선물세트 등을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7년 급등한 ‘소비자(169건)’ 키워드는 ‘농산물(184건)’, ‘특산물(71건)’ 키워드와 연관돼, 추석맞이 농특산물 판매와 소비자 피해 대응 등 농가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부모님’ 키워드는 부모님이 좋아하는 추석선물 등과 같은 홍보성 게시글과 연관이 높았고, ‘휴관일’ 키워드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전시관이나 박물관이 추석·설 명절당일에 휴관일로 지정돼 연관어로 도출됐다.
저작권자 © 내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