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 직원 가족 통해 처음 교도소 내 전파된 것...추가 n차 감염 우려도 나와

(내외방송=이지선 기자) 코로나19 3단계 격상 여부를 결정짓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정부가 오는 27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어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여부를 논의한다.
수도권 2.5단계, 전국 2단계 조처가 다음주 월요일인 28일 종료된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일요일인 27일께 논의해 그 결과를 별도로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의료 부분이 코로나19 상황에 적재적소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 코로나19 유행의 확산 추세가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코로나19 확진자가 확 늘고 있지도 않은데다, 반전되지도 않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 기간이 매우 중요할 것”이라며 “현재 방역 통제망 안에서 감염을 통제하는 역량은 유지되고 있고 의료적 역량에 있어서도 병상 여력을 확보하고 치료를 안정적으로 제공토록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1200명대로 확진자가 증가함에 대해선 서울 동부구치소 집단감염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검토 결과를 제시했다.
윤 반장은 “서울 동부구치소의 2차 전수검사 결과 확진자 288명이 새로 나타났다는 부분이 가장 큰 요인”이라며 “나머지 지역 감염은 이때까지의 추세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다만 “900~1000명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충분히 심각한 상황이라 말할 수 있는 단계라는 데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렇지만 현재는 특수 상황으로 보자는 견해가 뚜렷했다.
그는 일단 진정할 것을 당부했다. 서울 동부구치소는 이미 방역망 내에서 관리가 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지역사회로 추가로 전파되는 부분은 아니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선 첫 확진자가 동부구치소 근무자의 가족으로 알려지면서 사실상 기존의 요양원이나 요양시설 집단발병 사례처럼 지역감염이 교정시설 내로 전파된 데다 시설 내 감염자 접촉을 통한 외부로의 n차 전파 역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완전히 특수한 상황으로만 규정짓기 힘든 측면도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