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접종효과 입증 아직 안돼” 반대의견도 여전

(내외방송=이지선 기자)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 시작될 전망이다.
백신 공동구매,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확보한 물량 중 일부가 이달 중순 이후 들어온다. 약 6만명분(11만7000도스)의 화이자 물품으로 빠르면 이달 중순에 백신 접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고령층 접종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추천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화이자와 마찬가지로 역시 상반기 중 최대 22만명분(440만 도스)이 공급될 예정이다.
국내 첫 접종이 될 백신은 화이자로 의료진이 먼저 공급받기로 했다. 현재 고령층에 대한 우려가 앞서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고령층을 접종 대상에 포함해도 된다는 취지의 의견을 내놓았다.
이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로 2일 방역당국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안전성·효과성 검증 자문단’(이하 자문단)이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에 대해 ‘조건부 허가’를 권고했다.
추후 현재 진행 중인 임상시험의 최종 결과 보고서와 미국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 보고를 제출한다는 조건으로 허가한다는 뜻이다.
자문단은 고령층 접종에 대한 우려 가운데 접종해도 된다는 쪽으로 의견을 굳혔다. 자문단에 참여한 다수의 전문가가 “임상시험에 참여한 사람들 중 고령층이 적다는 이유로 고령층 접종을 배제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의견이다.
만 65세 이상을 포함한 전체 대상자에서 백신이 효과를 보였고, 백신 접종 후 면역 반응이 일반 성인과 고령층이 유사한 점 등을 고려하면 종합적으로 고령층도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온다는 설명이다.
영국의 경우 고령층 포함 만 18세 이상 성인 8895명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약 62%의 예방 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자들 중에 고령층은 660명(7.4%) 포함됐는데 일반 성인과 마찬가지로 고령층에게도 중화항체라는 것이 생성됐고, ‘혈청 전환율’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자문단은 고령층에게도 투여하는 것에 대한 긍정 반응을 보였다.
다만 자문단 중 일부는 고령층 접종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췄다. 자료가 부족한 점을 지적하며 추가 임상 결과를 확인한 뒤 허가 사항에 반영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래도 의료계 안팎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도입될 2월 말쯤에는 충분한 임상 데이터가 쌓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는 “현재로서는 상반기에 접종 가능한 백신이 아스트라제네카 밖에 없다”면서 “영국은 1월부터 접종을 시작했는데 2월 말쯤이면 백신과 관련 데이터가 나올 것이라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접종이 지금 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정기석 한림대 의대 교수는 “고령층 임상시험 대상자 숫자가 660명밖에 안 된다고 하면 ‘효과가 있다, 없다’를 말하기가 어렵다”면서 “아직 접종을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근거가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방역당국은 어느 정도 효과나 안전성이 검증된다면 고령층도 접종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효능이 조금 떨어질 수는 있으나 집단 면역을 형성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면서 “안전성이 확인된다고 하면 충분히 접종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식약처 허가 내용을 확인한 후 예방접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령층 접종 여부, 접종 대상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