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제외, 대부분 두 자릿수 역성장

(내외방송=허수빈 아나운서) 국내 100대 기업의 해외매출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100대 기업의 2016~2020년 연결기준 실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해외매출이 2년 연속 감소했다.
연도별로는 2019년 2.1%, 2020년 5.6% 감소하며 급격한 역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에는 상반기 코로나19 펜데믹 공포가 극에 달하며 2·4분기 해외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17.7% 감소했다. 3·4분기에는 코로나19 충격이 소상상태를 보이고 소비와 고용 흐름이 개선되면서 매출이 2.8% 증가했다. 그러나 4·4분기에는 3차 팬데믹으로 다시 5.5%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4.0% 상승한 전기·전자를 제외한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에너지·화학, 철강·금속, 종합 상사, 조선·기계, 건설·건설자재 등 주력 업종 대부분이 한 자릿수 후반에서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독자적으로 상승한 전기·전자는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모바일・PC·반도체·이차전자 수요가 커지며 이전의 부진에서 벗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업종은 지난해 2분기 북미·유럽 완성차 업체 생산 중단 사태로 7.1% 감소했다. 에너지·화학도 저유가에 따른 업황 부진과 정제마진 약세로 26.3% 감소했다. 철강·금속은 수요 산업 침체로 판매량이 감소하며 12.1% 감소했다.
지역·국가별 해외매출을 발표하는 상위 20대 기업의 지역별 실적 집계 결과에서는 중국·아시아 지역 해외매출이 13.8% 줄어들며 두드러지는 낙폭을 보였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국내 주요기업의 글로벌 생산거점이자 최대 해외비즈니스 지역인 아시아 신흥국의 실질성장률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대미 수출은 미국이 3분기부터 코로나19 경제활동 제한조치를 완화하며 전년대비 5.0% 증가했다. 유럽 역시 하반기부터 경제봉쇄조치가 완화되고 반도체, 유럽 자동차 OEM 업체 배터리 판매가 개선되면서 전년대비 0.6% 감소하는 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