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한국방송공사(KBS) 이사회가 오는 30일 월 2500원인 수신료를 53.6%올린 3840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이사회에 상정할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국민의힘은 "물가에 따라 수신료가 자동 인상되고, 국민의 목소리는 철저히 무시한 처사"라고 맹 비판했다.
허은아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 이 같이 비판한 뒤 "수신료 조정안에서 '수신율-물가 연동제',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는데 10년 간 물가 올라왔으니 국민의사와 달리 올리겠다는 것과 다름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허 의원은 "kBS는 수신료를 인상하면 자구노력하겠다고 했는데 순서가 잘못됐다"며 "자구노력이 선결 조건이지 어떻게 수신료 인상이 전제조건이냐"고 지적했다.
그는 "역피라미드형 고용을 해결해야한다. (직원)평균(연봉이) 1억원을 넘고, 유휴인력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억 이상 연봉을 받는 직원이 46.4%나 된다고 밝혀졌다"며 "NHK는 2023년도에 (수신료를)10%가량 낮추기로 했고, 인력도 30% 감원할 계획을 내놨다"고 일본 측 방송국의 방침과 비교했다.
허 의원은 "방송환경을 일본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방만경영에 대한 자구노력이 돋보인다"며 "여권이 추진하는 추천제를 도입할 경우 공영방송의 국민 눈치 볼 일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허 의원은 그러면서 "KBS는 특정 정치세력에 사유화될 것"이라며 "KBS수신료 인상은 어려운 일도 아니다. 여당은 (방송을)사유화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날 것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허 의원은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kBS수신료 인상 강행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KBS가 전기료에 묶어 사실상 준조세 형태로 걷는 수신료는 지난해 6790억 원에 달했다. 수신료를 월 3840원(연 4만 6080원)으로 인상하는 안이 확정될 경우 KBS의 연간 수입은 1조 원 이상으로 크게 늘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