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국민의힘은 16일 "부동산 실정에도 아랑곳없이 특공을 악용하는 문재인 정권의 임기 말 부도덕을 규탄한다"고 질타했다.
김연주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문재인 정부는 집권 이래 부동산 정책을 25번이나 내놓았음에도 집값은 폭등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상근부대변인은 "경실련 조사에 의하면 지난 4년간 서울의 아파트값은 79%, 공시지가는 86%가 인상됐다고 한다. 달걀값, 대파값이 아닌 집값의 상승 폭이 80%에 이른다는 것은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재앙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더구나 국민들이 가장 분노하는 대목은 국민을 위해 봉사해야 할 공무원과 공기업 직원 일부가 개인의 이권 추구에만 골몰해 엄청난 부동산 차익을 거둬갔다는 것이다"면서 "무엇보다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단 하루도 살지 않고 '특별히 공급' 받은 아파트의 가격 상승 혜택만을 누린 이들이 허다하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 상근부대변인은 "특히 최근 장덕진 한국소비자원 부원장이 '세종 특별공급'을 받은 집을 처분해 지난해 차익을 얻었음에도 원장에 내정된 점은 기가 막힐 노릇이다"면서 "더욱이 그는 소비자원 간부들의 부적절한 골프 접대 비리를 보고 받고도 이를 유야무야 처리하려 했던 인사라는 점에서 조직 수장이 되기에 부적절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는 노릇이다"고 혀를 찼다.
김 상근부대변인은 "정권 말기 보은 인사를 위해, 그동안 내세웠던 부동산 관련 검증도 아랑곳하지 않는, 도덕적 해이를 스스로 내보이는 예라 아니할 수 없다"면서 "또한, 한국자산관리공사가 2014년 부산으로 이전하며 특공 혜택을 받은 직원들이 500명 가까이 되는데, 이들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직원들이 이미 퇴사했거나 다른 지역에 근무하고 있다 하니, 과연 특공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따졌다.
김 상근부대변인은 "그들 중에는 2017년 입사해 10일 만에 특공을 받고 단기에 퇴사한 이도 있다는데, 진정한 먹튀의 탄생을 이끈 제도의 허점은 비판에만 그쳐서 안 된다는 생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세종시 아파트 특공 악용 사례를 전수조사하는 국정조사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며 "여당과 정부, 청와대는 반드시 이에 응답해야 할 것이다"고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