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남용으로 인한 방역체계 허점 작용할 수도

(내외방송=한병호 기자)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수도권과 일부 지역의 거리두기 4단계 조치를 6주 이상 지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환자 발생이 줄어들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대한의사협회(이하 협회)는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가 4차 대유행의 원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신속항원검사키트의 오남용에 대한 문제가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협회는 이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신속항원검사키트는 의료기관에서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거동이 불편할 경우, 오지, 교도소 등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검체 채취, 검사 시행 및 결과의 해석에 있어 의료진의 지도·감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 국민이 개별적으로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사용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으며 철회돼야 한다.
검체 채취의 문제, 검사방법의 오류, 결과 값 판독 오류, 결과 후 판단과 대처, 검사 오남용으로 잘못된 안도감, 2차 피해 등을 야기해 방역체계의 허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협회는 "민감도가 낮은 검사법을 국민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검사키트'라는 용어를 사용해 무증상자를 포함한 다수의 국민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데 대한 우려를 표한다"고 전했다.
이어 "국민 개인에게 진단검사를 하게 하는 것은 결과 판독, 결과를 얻은 뒤의 향후 조치에 대한 책임과 경제적 부담을 개인에게 넘기는 일로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며 "실제 현실에서 결과의 정확도 저하, 위 음성의 경우 잘못된 안도감을 주게 돼 2차 피해 발생 가능성, 양성을 보인 경우 심리적 혼란으로 인한 회피 등이 발생해 국가 전염성 질환의 방역체계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