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허명구 기자) 정부가 30일 ‘3080+공급대책’(2·4 대책)을 발표한 지 약 1년만에 목표물량인 83만 6000호의 60%인 50만 3000호가 넘는 후보지를 발굴했다고 발표했다. 도심 주택공급은 서울 9만 7000호를 포함해 전국 17만호로 분당과 일산 신도시를 합친 규모다.
전체 공급 목표 83만 6000호 가운데 서울 물량은 분당, 일산, 평촌 등 1기 신도시(약 30만호) 전체 물량을 뛰어넘는 수준인 32만호에 달한다.
2·4 대책의 주요 사업은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19만 6000호 공급목표), 공공정비사업(13만 6000호), 소규모정비·도시재생사업(14만호), 공공택지(36만 4000호) 등이다.
도심복합사업의 경우 지난 1년 동안 전체 목표물량의 절반 이상인 76곳, 10만호 규모의 후보지가 확보됐다.
이 중 7곳, 1만호는 지난해 말 지구 지정을 완료했고, 특히, 증산4, 방학역, 연신내역, 신길2구역 등은 올해 안에 사전청약(4000호)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도 5만호 이상에 대한 지구 지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76곳 중 법적 지구 지정요건인 주민 3분의 2 이상 동의를 확보한 후보지도 26곳(3만 6000호)에 달한다. 현재 본지구지정 요건을 확보한 후보지는 3만 6400호 규모다.
공공정비사업의 경우 지금까지 공공재개발 29곳(3만 4000호), 공공재건축 4곳(1500호), 공공직접시행 2곳(1000호) 등 35곳, 3만 7000호의 후보지가 선정됐다.
이 중 공공재개발 후보지인 용두1-6, 신설1, 신문로2-12, 흑석2, 강북5 등과 공공재건축 후보지 망우1, 강변강서 등 7곳은 공공시행자 지정까지 마쳤다.
소규모정비·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는 총 57곳, 3만 2800호)의 후보지가 선정됐다. 국토부는 최소 2만 7000호 규모의 후보자를 추가로 선정하겠다는 계획이다.
2·4 대책 물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공택지는 지난해 전체 25만 9000호에 대한 후보지 지정을 모두 마쳤다.
올해 공공택지 지구지정을 모두 완료하는 게 목표로, 수도권에만 20만호 수준의 주택 공급이 확정된다. 여기에 수도권 일부 택지에 밀도상향, 용도전환 등으로 1만호의 추가 공급도 추진한다.
사전청약도 차질없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 공공 3만 2000호, 민간 8000호 등 총 3만 8000호가 사전청약으로 공급됐다.
공공 사전청약은 총 54만 3000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17.3대 1을 기록했고, 민간 사전청약 역시 최고 1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 공급 물량은 7만호로, 매분기 1만호 이상이 연속 공급될 예정이다. 1분기에는 2월 초부터 3차례에 거쳐 총 1만 5000호가 공급된다. 여기에는 3기 신도시 물량과 2기 신도시 물량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소규모 주택정비 후보지로 50곳, 2만 9000호가 선정돼 8곳, 7000호가 소규모정비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연내 나머지 42곳, 2만 2000호의 관리지역 지정을 완료하고 총 2만 3000호 규모의 후보지를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