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 김승섭 기자
  • 승인 2022.07.31 08:1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9년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적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된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사진=문화재청)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문화재청은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 

31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무변루는 지난 2019년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적 '옥산서원(玉山書院)'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옥산서원 외삼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중층으로 된 문루다. 

무변루는 1572년 옥산서원이 창건됐을 때 함께 세워졌으며, 주변의 훌륭한 자연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규모는 정면 7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좌·우 측면에는 가적지붕을 설치했다. 

건물의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위층은 온돌방과 누마루(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로 구성돼 있는데, 위층은 가운데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에 온돌방을 둔 뒤 다시 좌우에 누마루를 구성하는 매우 독특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붕에는 숭정(崇禎 ·1637년), 건륭(乾隆·1782년), 도광(道光·1839년) 등의 중국 연호가 기록된 명문기와가 남아있어 수리 이력을 정확하게 알게 해 준다.

가적지붕 또는 부섭지붕은 맞배지붕 측면에 덧붙여진 한쪽으로 경사진 지붕을 뜻한다.

관련 기록에 의하면, 무변루는 영의정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이름을 짓고, 석봉 한호(韓濩·1543~1605)가 현판을 썼다. 

무변루의 '무변'은 북송(北宋)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頤)의 '풍월무변(風月無邊)'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하면 '서원 밖 계곡과 산이 한눈에 들어오게 해 그 경계를 없애는 곳'이 된다. 이는 무변루가 주변의 자연경관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서원 문루는 장수유식(藏修遊息)으로 대표되는 서원의 교육과 소통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무변루는 창건 이래 지역 유생의 교육 장소로, 유교 문화창달과 지식보급에 큰 역할을 했다.

'어제제문(御製祭文·1792)', '을사년 옥산서원 통문(乙巳年 玉山書院 通文·1905) 등 다수의 문헌 기록에는, 무변루가 토론과 휴식, 모임, 숙식의 공간으로 사용됐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시문에서 무변루에 관한 기록이 확인된다.

장수유식(藏修遊息)은 유교 경전 가운데 하나인 예기(禮記)에 수록된 내용으로, 수업 중이거나 물러나 쉴 때나 모두 배움을 놓지 않음을 말한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가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다.



오늘의 이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 : (주)내외뉴스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690
  • 인터넷신문등록일자 : 2017년 09월 04일
  • 발행일자 : 2017년 09월 04일
  • 제호 : 내외방송
  • 내외뉴스 주간신문 등록 : 서울, 다 08044
  • 등록일 : 2008년 08월 12일
  • 발행·편집인 : 최수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3 (뉴스센터)
  • 대표전화 : 02-762-5114
  • 팩스 : 02-747-534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유진
  • 내외방송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내외방송.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nwtn.co.kr
인신위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