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v2.2 채널에 문제 발생 시 정신질환이나 만성통증 발병

(내외방송=정지원 과학전문 기자)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이 발견돼 앞으로 다양한 정신질환이나 만성통증 등 신경성 질병 치료에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23일 '내외방송'에 보낸 자료에서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경세포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인 '전압의존성 칼슘채널'의 활성에 대한 분자적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신경세포의 축삭(신경세포를 구성하는 가늘고 긴 섬유)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하는 'Cav2.2' 채널은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Cav2.2 채널은 칼슘이온의 유입을 조절하는 전압의존성 칼슘채널이다.
만약 이 채널의 활성 조절에 문제가 생기면 조울증이나 정신분열증, 자폐증 같은 정신질환이나 뇌전증과 만성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지질(세포나 기관을 싸고 있는 막의 주요 성분)은 세포막을 형성하는데, 인지질 중 하나인 PIP2가 전압의존성 칼슘채널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복합한 구조 탓에 PIP2가 어떻게 칼슘채널의 활성을 조절하는 원리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PIP2가 전압의존성 칼슘채널의 보조 소단위체인 β2 단위체의 세포막 결합 유무에 따라서 어떻게 Cav2.2의 활성을 조절하는지를 규명한 적이 있다.
이를 활용해 Cav2.2 채널과 β2 단위체의 다양한 변이 모델들을 만들어 전기생리학 기법으로 확인했더니 Cav2.2 채널에서 β2 단위체가 결합하고 있는 'Ⅰ-Ⅱ loop'와 전압 감지 도메인 중 하나인 'S4Ⅱ'에 PIP2가 각각 결합해 채널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것이 발견됐다.
뿐만 아니라 β2 단위체를 응용해 Cav2.2 채널의 Ⅰ-Ⅱ loop에 인위적으로 PIP2의 결합을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실시간으로 Cav2.2 채널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됐다.
박천규 박사가 제1저자로, 서병창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eLife'에 지난 14일 온라인 게재됐다(논문명: Molecular basis of the PIP2-dependent regulation of Cav2.2 channel and its modulation by Cav β sub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