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내외방송) 여야는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을 둘러싸고 이틀째 논쟁을 이어갔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오늘(3월 7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우리가 한일간의 과거사 문제를 극복하지 않으면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폭탄처리반을 맡아 폭탄 처리에 나선 것으로, 윤 대통령의 대승적인 결단으로 봐야한다”고 말했다.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맡고 있는 정 위원장은 “이제 공은 일본으로 넘어갔다. 일본도 한일관계의 원만한 발전을 위한 역할이 있기 때문에 일본 측의 협력과 성의있는 호응조치가 있어야 한다”며, ”그런 점에서 정부도 일본과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제3자 변제 방식은 더불어민주당의 아이디어”라며, “민주당은 제1야당으로서 정파적 논리에서 벗어나 국익과 국민, 미래와 안보, 경제 등을 감안하는 방향으로 자세전환을 해달라”고 말했다.
반면에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제3자 변제 방식'은 정부가 대법원의 판결을 부정하고 국권을 포기한 것으로 매국 행위"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안 의원은 "중요한 것은 국권을 포기하면 안 된다는 것“이라며, ”강제동원에 대한 사과와 배상은 국권이지 않나. 일본이 안 들어준다고 해서 우리가 국권을 포기한다는 것에 어느 국민이 납득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안 의원은 "일본측은 자신들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하고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사과도 했다고 얘기하고, 우리 정부도 그런 식으로 인정하는 것 같은데 이것은 국민 기만"이라며, "김대중-오부치 선언은 식민지배에 대한 사과와 반성만 했을 뿐, 강제동원에 대한 사과와 반성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