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6일 북남고위급회담 중지" 통보...정부, "향후 대책 논의"
靑 "남북관계에 근본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기대"
(내외뉴스=정영훈 기자) 북한이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규모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Max Thunder) 훈련을 비난하며 16일로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중지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새벽 0시30분께 고위급회담 북측 대표단 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을 보내 한미 공군의 연례적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를 문제 삼아 회담을 '무기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북측은 이날 새벽 0시30분께 고위급회담 북측 대표단 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을 보내 한미 공군의 연례적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Max Thunder)를 비난하며 회담을 '무기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북한 관영 조선 중앙통신은 "우리는 남조선에서 무분별한 북침전쟁 소동과 대결 난동이 벌어지는 험악한 정세 하에서 16일로 예견된 북남고위급회담을 중지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며 "남조선 전역에서 우리를 겨낭하여 벌어지고 있는 이번 훈련은 판문점 선언에 대한 노골적인 도전이며 좋게 발전하는 조선반도(한반도) 정세 흐름에 역행하는 고의적인 군사적 도발"이라고 규정했다.
북한은 16일 새벽 3시께 송고한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고위급회담 중지'를 공식화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회담 일정 협의 과정에서 연합훈련을 문제 삼는 분위기는 전혀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이날 새벽 북측의 '회담 중지' 통지문이 전해지자 고위급회담 우리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장관을 비롯한 간부들이 향후 대책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통일부와 국가정보원 등 유관부처를 중심으로 북한이 갑자기 회담 중지를 밝힌 배경을 분석하며 입장을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 입장은 유관부처 협의를 거쳐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고위급회담이 '무기 연기'됐지만 지난달 27일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본격적인 발전의 길로 들어설 것으로 기대되는 남북관계에 근본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북한은 오는 23~25일 사이 진행되는 북부 핵실험장 폐기의식에 우리측 1개 통신사와 1개 방송사 기자를 각각 4명씩 초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