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서울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제동..."국민공감대 부족"

행안부 "교통대책 등 국민공감대 부족...전반적인 사업일정 조정 필요"

2019-08-08     한병호 기자

(내외뉴스=한병호 기자) 서울시가 추진 중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에 대해 행정안전부가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2년 후 새 광장을 선보이겠다는 서울시 계획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행안부는 지난달 30일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사업 관련 협조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냈다. 

행안부는 공문에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국민과 시민의 폭넓은 이해와 지지, 대표성 있는 시민단체와 전문가의 참여 속에 추진돼야 한다고 본다"며 "이에 전반적인 사업 일정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경복궁) 월대(궁궐 앞에 놓는 넓은 단) 발굴조사를 위한 임시우회도로 설치 공사 역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비를 포함해 월대 복원사업, 교통대책 등 국민과 시민들의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공감을 얻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복궁 앞 우회도로 개설 등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 시민단체 등의 비판이 끊이지 않자 행안부가 비판 등의 여러 문제를 해결한 뒤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서울시민재정네트워크,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등 11개 시민단체는 지난달 2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가 없었다며 충분한 소통과 검토를 거쳐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일단 예정대로 행안부와 실무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올 5월 청와대 주재로 차관과 부시장이 만나 큰 틀에서 서울시 계획대로 합의를 했고, 그 뒤 10차례 이상 실무협의를 진행했다"며 "행안부가 요구한 사안들을 수용하면서 잘 진행하고 있었는데 당혹스러운 것은 사실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아직 정확한 진의를 파악하진 못했다"며 "계획이 늦춰질 만큼 큰 문제라고 보지 않고 있다. (행안부도) 큰 틀에서 사업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의견조율을 하면 어느정도 잘 정리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