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료원, 5대 혁신안 발표...김민기 서울의료원장 '사임'
30명 이내 ‘간호사 지원전담팀’ 운영 ‘감정노동보호위원회’ 신설...직장 내 괴롭힘 접수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서울의료원이 지난 1월 5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사망한 간호사 사건 이후 '서울의료원 혁신대책위원회'가 도출한 '서울의료원 혁신방안'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5대 혁신 대책을 2일 발표했다.
5대 혁신과제는 소통하는 일터를 위한 혁신적 조직·인사개편, 직원이 행복한 일터 조성, 직원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일터 조성, 고인 예우 추진 및 직원 심리치유, 지속적인 공공의료 혁신(장기과제)이다.
서울의료원은 인사팀·노사협력팀도 신설하고 조직개편을 실시해 인사‧노무관리를 강화한다. 39개의 직종별 업무특성을 고려해 인사배치가 이뤄지고, 직원후생과 정신건강, 노사협력 등을 지원하는 전담노무사도 배치할 계획이다.
실 근로시간과 직종, 직무 등을 고려한 임금체계 개편과 노동시간 단축도 추진한다. 직무분석을 통해 적정한 ‘임금체계 개편’이 이뤄지도록 컨설팅 용역도 시행하고, 노사 협의를 통해 출퇴근 시간 확인 시스템 도입도 추진한다.
특히, 30명 이내의 경력간호사로 구성된 ‘간호사 지원전담팀’을 공공병원 최초로 운영해 선임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병가, 휴가 등의 인력공백을 완화하는 동시에 신규간호사의 업무 적응을 지원한다.
고인에 대해서는 순직에 준하는 예우를 추진한다. 유족 의견을 수렴한 추모비 설치 권고에 따라 서울의료원장이 이를 검토·추진할 예정이다.
장유식 서울의료원 혁신위원장은 "활동기간 동안 서울시가 전국공공의료의 모범이 될 수 있는 문제 해결 의지와 적극적 협조를 볼 수 있었다"며 "이번 서울의료원 혁신안이 제대로 실행돼 공공병원 혁신 사례가 다른 시립병원에도 확대돼 전국에 전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해당 사건과 관련해 서울의료원 김민기 원장이 사망 사건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 서울시는 사의표명과 관련해 "공식적인 사의 접수 후 임원추천위원회 구성 등의 후임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의료원에서 근무했던 지금은 고인이 된 서 간호사는 지난 1월 5일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행정병동에서 간호행정부서로 부서를 옮기고 약 한 달 만에 벌어진 사건으로 당시 서 간호사는 '병원 직원에게 조문도 받지 말라'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사건으로 시민대책위원회와 전문가로 구성된 진상조사위원회가 꾸려져 지난 3월 서울시의 위촉을 받아 조사를 진행해왔다. 진상조사위는 서 간호사 사망 사건의 원인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사망'으로 결론 짓고 서울시와 서울의료원에 34개 권고안을 제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