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인의 권리회복을 위한 ‘미술은 산업이다’ 세미나 열려

2020-01-30     최유진 기자
▲국회의원회관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건축 미술품뿐만 아니라 공공조형물까지 흉물 논란에 휩싸이자 한국조각가협회, 한국미술협회는 조달청과 지방자치단체에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건립 과정에서 주민과 전문가 의견이 배제되면서 지역 색채나 역사적 맥락과 관계없는 조형물이 양산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오늘(30일) 오전 10시 ‘미술은 산업이다-미술인의 권리회복을 위한 제도개선’ 세미나가 열렸다.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인근의 11억원을 투입한 '흥겨운 우리가락' 조형물이 "저승사자 같다"는 지역민들 반발 끝에 지난 7일 철거됐다. 구석기 유물이 발견된 지역 특성을 살렸다는 5억원을 투입한 대구 달서구의 원시인 조형물도 주민들의 철거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또 인천 남동구가 세금 10억원을 들여 소래포구 해오름광장 인근 부두에 건립하겠다는 10m 높이의 새우타워 조형물에 대해 인근 주민들은 "수염까지 달린 거대한 새우깡"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인천

공공기관 발주 조형물의 경우 사실상 전문작가의 참여나 진입이 제도적으로 어려운 기업 독점의 프로젝트가 대부분이다. 조달청 기준으로 집행되다 보니 자격 기준 자체가 개인으로서의 작가들은 소외될 수밖에 없다.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지자체 주도의 랜드마크들이 거대, 거액 조형물들이지만 정작 창작 역량이 우수한 작가들이 배제되는 상황임에도 그 질타의 몫은 일반 작가들에게 돌아간다.

이들은 "흉물이라는 비판이 쇄도해 철거된 공공조형물은 조달청에서 선정한 산업디자인업체 작품"이라며 "공공미술 입찰 자격을 산업디자인업체로 제한해 개별 조각가들이 참여할 수 없는데도, 우리가 만든 것으로 매도되는 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며 공공미술 입찰 방식 문제를 제기했다. 

전국적으로 생뚱한 조형물들이 시민들의 콘센서스도 없이 세워지는 공공기관 주도의 조형물들이 마치 건축물 미술작품 범주의 것인 양 호도되고 있어 작가들의 이미지와 명예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작가의 정체성이나 개성은 말할 것도 없고, 심사 과정도 허점이 많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 물의를 일으키는 사례들이 많다.

지금은 심사위원 후보를 투찰자가 지인들을 동원해 다수를 차지하게 하고, 확률적으로 선정 가능성이 높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기에 심사위원을 무작위 추첨으로 뽑는다해도 공정성이 이미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혼돈과 모순의 책임이 작가들에게 전가되고 있는 사이, 작가들의 권익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관광 측면에서나 교육적, 향유적 측면에서 거둔 성과들이 상당하지만 세간의 인식이나 시선이 자꾸만 부정적으로 흐르는 상황이 작가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익에서도 피해를 보고 있다.

최근 들어 심의과정 자체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좋은 작품의 설치를 권장하기 위한 방향으로 운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