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WHO 자금지원 중단 선언…美정부 부실대응 역풍 속 국면전환 시도?

2020-04-15     김택진 기자
트럼프

(내외방송=김택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각) 세계보건기구(WHO)의 잘못된 대응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이어졌다면서 'WHO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이라는 전제로 WHO에 대한 자금지원 중단을 지시했다고 전격 선언했다.

WHO의 중국 편향성 등을 이유로 국제기구에 대한 자금줄을 끊는다고 전면전을 선언해 만만치 않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CNN방송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문제에 있어 WHO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미 당국자들이 평가하는 검토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WHO에 대한 자금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WHO가 기본적인 의무를 이행하는 데 실패했으며, 이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WHO는 중국발 입국금지 반대라는 위험하고도 대가가 큰 결정을 내렸으며, (미국의) 여행 제한에 대한 WHO의 공격은 '정치적 올바름'을 더 우위에 둔 처사였다"며, "진실은 WHO가 적기에 그리고 투명한 방식으로 정보를 적절하게 확보하고 조사하고 공유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이라고 맹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WHO가 의료 전문가들의 중국내 파견을 위해 제대로 일을 했다면, 그리고 중국의 투명성 부족을 비판하는 데 있어 제대로 일을 했다면 수천명의 목숨을 구했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전 세계적인 경제적 피해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이면서 WHO가 보다 광범위한 확산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특히 "미국은 매년 4억∼5억 달러의 자금을 WHO에 댔는데, 중국은 대략 4천만 달러를 기여한다"는 불만도 거듭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WHO 할당자금은 다른 국제보건기구에 재분배될 것이라면서, 다만 WHO에 계속 관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고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WHO 자금지원 중단선언은 7일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브리핑에서 자금지원 보류 검토 언급 후 8일만에 이뤄진 것이다.

이에 WHO 사무총장이 8일 "바이러스를 정치 쟁점화하지 말라"고 정면 반박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재반박에 나서는 등 양측이 정면충돌 양상을 빚어왔다. 당시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WHO 자금지원문제에 대한 재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확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결정은 미국이 국제 공조를 견인해야 한다는 요구가 적지 않은 가운데 오히려 국제기구의 지원금을 끊는다고 선포한 셈이어서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책임론을 둘러싸고 거센 역풍에 직면한 상황에서 국면전환용이 아니냐는 비판론도 제기된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WHO와 언론을 비롯한 외부로 책임을 돌리기 위한 시도를 해왔다고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WHO가 늑장 대응으로 비난을 받아온 것은 사실이지만, WHO가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한 이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독감에 비유하며 그 심각성을 계속 무시해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