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집단 사표낸 6명중 3명 참모진 교체…여야 엇갈린 반응

신속히 이뤄진 3人 수석 교체

2020-08-11     전기복 기자

(내외방송=전기복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진 6명이 집단으로 사표를 낸 지 사흘 만에 3명의 사표를 수리하고 정무·민정·시민사회수석비서관을 어제(10일) 교체했다. 노영민 비서실장은 이번 교체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에 최재성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민정수석비서관에 김종호 감사원 사무총장을, 시민사회수석비서관에 김제남 청와대 기후환경비서관을 각각 내정했다.

앞서, 지난 7일 노영민 실장과 강기정 정무수석, 김조원 민정수석,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김거성 시민사회수석, 김외숙 인사수석 등 6명은 문 대통령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사표 수리는 예상보다 신속히 이뤄졌다. 이는 부동산 정책에 대한 여론이 악화돼 청와대가 이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당초 예상보다 빠른 인사 단행이 이뤄지지 않았나 풀이된다. 또한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와 호우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비상 상황에 문 대통령이 후반기 국정운영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자 단행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해 12월 16일 노영민 실장은 수도권 내 2채 이상 집을 보유한 청와대 고위 공직자들은 불가피한 사유가 없으면 이른 시일 안에 1채를 제외한 나머지를 처분할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반응이 많았다. 대다수 참모는 부동산 매각에 나서지 않았고, 노 실장은 7월 2일 다주택 참모들에게 부동산을 7월 안에 처분하라고 재권고 했다.

이 과정에서 노 실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과 충북 청주시 아파트 2채 중 청주 아파트를 처분하기로 하자 여론이 들끓었고, 결국 아파트 2채를 모두 매각했다. 이후 노 실장이 정한 마감 기한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청와대에는 다주택자가 8명이였다.

청와대는 “한 명도 예외 없이 모두 처분 의사를 표명하고, 처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서울 강남구 도곡동과 송파구 잠실에 각각 아파트를 소유한 김조원 민정수석이 잠실 아파트를 시세보다 2억원 이상 높게 매물로 내놓으며 여론에선 ‘매각 시늉’만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결국 이튿날인 7일 노 실장과 비서실 소속 수석비서관 5명이 문 대통령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여야는 교체된 청와대 수석 인사들과 관련해 엇갈린 평가를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대변인은 10일 논평을 내고 최재성 신임 정무수석에 대해선 "뛰어난 정무적 역량으로 여당은 물론 야당과 활발한 소통을 이어갈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종호 신임 민정수석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말했다. 또한 김제남 시민사회수석에 대해선 "다양한 경험으로 우리 사회의 갈등 사안을 조정,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미래통합당 배준영 대변인은 "대통령 말대로 부동산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정책라인에 대한 책임 있는 인사 조처를 통해 정책 기조 전환의 의지를 보여줬어야 한다"며 지적했다. 그러면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상조 정책실장 모두 건재하고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마저 유임돼 청와대 참모진의 사의 표명은 그저 '쇼'가 돼버렸다"며 "우리 삶의 영향을 미치는 경제라인을 교체하라"고 촉구했다.

정의당 김종철 선임대변인은 "청와대와 정부의 정책라인에 대한 평가가 빠진 인사로 한계가 크다" 평가하고, 주요 정책라인에 대한 과감한 쇄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