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성장률 0.7%...민간소비 12년만에 최고 성장

코로나 학습효과로 소비 회복 수출 줄고 소비심리, 정부소비 확대

2021-07-27     허수빈 아나운서

(내외방송=허수빈 아나운서) 올해 2·4분기 한국 경제 성장률이 0.7%를 기록했다. 코로나가 장기화하면서 학습효과로 소비 충격이 축소되고 정부소비도 확대된 영향이라는 평가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0.7% 성장했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 2분기(0.7%)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업종별 성장률은 ▲서비스업 1.9% ▲건설업 -1.4% ▲제조업 -1.2% ▲농림어업 -13.6% ▲ 전기가스수도업 -3.5% 등이다.

두드러지는 부분은 2분기 민간소비 회복세다. 올해 2분기 민간소비 성장률은 3.5%로 지난 2009년 2분기(3.6%) 이후 12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건설과 수출 부분은 부진했다. 설비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 모두 2.5% 감소했고 수출 효자 품목인 자동차와 LCD(액정표시장치) 등은 2.0% 감소했다.

수출은 작년 3분기(16.3%) 이후 갈수록 증가율이 낮아지다 올해 2분기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교역 요건 악화 영향으로 보인다.

결국 건설투자와 수출이 감소 전환하고 설비투자는 증가폭이 축소됐으나, 민간소비와 정부소비는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에 대해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지출항목별로 순수출 성장기여도가 하락했으나 내수 성장기여도는 성장했다"며 "코로나 학습효과로 소비심리 위축에 미치는 영향이 좁혀지면서 소비위축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고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한편 한국은행은 지난해 5월 1분기까지의 경기 회복 흐름에 기반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4.0%로 올려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