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확진자 2000명 시대, 보건의료노조 9월 산별적 파업 선언

"정부, 책임 다할 수 있도록 9월 산별총파업투쟁 반드시 승리할 것"

2021-08-20     김승섭 기자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노조) 공공병원 노동자 결의대회 참가자 일동은 지난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2021산별총파업투쟁을 기필코 승리하자"며 총파업을 예고했다. 

이들은 회견에서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 대유행을 우리 공공의료 노동자의 사명감과 헌신으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가고 있다"며 "코로나의 최일선에서 사투를 벌여온 우리 공공의료 노동자는 그 누구보다 더 공공의료가 더욱 확충돼야 할 필요성을 온몸으로 체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20일 낸 결의문에서 "단 10%의 공공의료로는 코로나19는 물론 건강불평등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어떠한 계기도 마련할 수 없다"면서 "공공의료의 확충과 강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정부의 역할이며 책임임에도 정부가 먼저 의료를 민간 시장에 맡겨 둔 채 본연의 임무를 방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무너지고 부서진 공공병원을 고쳐 재생하고, 안정적인 의료인력을 확보하고, 방치된 마을에 공공의료의 깃발을 세워야 할 정부가 오히려 현장의 인력이탈을 방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의료는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에 의해서만 사람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가 정부기관의 최선두에서 공공의료의 깃발을 끌어 내리고 있는 실정이다"며 "총인건비 제한을 이유로 의료인력의 처우개선비를 사용할 수 없도록 방치하고, 부족한 의료인력을 충원해야 할 정원을 틀어막고, 최후의 사용자임에도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고 정부의 행태를 알렸다. 

노조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래 언제 한 번이라도 정부가 먼저 공공의료 노동자에게 마르고 닳지 않는 사명감을 가슴에 안겨준 적이 있었는지 우리는 묻는다"며 "더 이상, 코로나19와 취약한 의료의 최일선에서 사투를 벌이는 보건의료노동자들의 처우 개선과 인력확충을 외면한다면, 코로나19 의료재난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결코 지켜낼 수 없다"고 으름장을 놨다.

이에 따라 노조는 "오늘 우리는 공공의료 확충과 보건의료인력 확충, 불법의료 근절, 교대근무제 개선을 위한 선도적인 투쟁을 선언한다"며 "9월 산별총파업투쟁 전선에서 우리 공공의료 노동자가 가장 최선두에서 기필코 대한민국의 공공의료를 지켜 확대해 갈 것이다"고 말했다.

노조는 ▲우리는 코로나19 극복과 공공의료 확충, 불법의료 근절과 인력확충, 교대근무제 개선과 주4일제 쟁취, 비정규직 정규직화, 공공의료 확충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최후의 사용자로서 정부의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9월 산별총파업투쟁을 반드시 승리로 만들어 낼 것을 결의한다.

▲우리는 보건복지부만이 아닌 공공의료를 방치하고 필요에 따라 생색만 내려는 교육부, 국가보훈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각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모든 정부 부처의 의료에 대한 무지와 건강불평등 해소에 대한 무관심과의 투쟁을 펼쳐 갈 것이다. 

이들 정부 부처의 뒤에 숨어 의료를 민간 시장의 먹잇감으로 삼게 하는 기획재정부에게 다시금 의료공공성 회복을 위한 모든 책임을 요구하는 완강한 투쟁을 펼쳐 갈 것을 결의한다.

▲우리는 정부가 절박하고도 정당한 우리의 요구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지 않는다면, 9월 산별총파업투쟁 전선의 가장 최선두에 설 것을 모든 공공의료노동자 앞에 선언하며 국민과 헌법이 보장하는 모든 수단과 방법으로 우리의 모든 힘을 쏟아 기필코 쟁취할 것을 결의한다고 했다.

현재 코로나 거리두기 4단계로 소상공인이나 시민들이 숨쉴틈도 없는 가운데 매일 2000여명 이상의 신규코로나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보건의료산업노조가 9월 산별적 파업을 한다면 가뜩이나 모자란 보건의료 인력에 더해 코로나 사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정치권은 물론, 각계에서 쏟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