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사망위험 24∼28% 낮춘다...33만명 12년 추적 관찰
한국·일본·중국·싱가포르 33만명 12년 추적 관찰 남성 24%, 여성 28% 사망위험 각각 감소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커피 섭취가 아시아인의 사망위험율을 남성은 24%, 여성은 28% 각각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서울대 식품영양학과(이정은)·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안윤옥·유근영·강대희·박수경·신애선)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아시아 코호트 컨소시엄에 참여한 4개국(한국·일본·중국·싱가포르) 33만명을 대상으로 12.5년에 걸쳐 추적 관찰한 결과, 커피 섭취가 사망위험을 크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4개국 연구팀의 연구자 38명이 참여했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역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하루 커피 섭취량을 ▲1잔 이상∼3잔 미만 ▲3잔 이상∼5잔 미만 ▲5잔 이상으로 나눠 성별로 사망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 커피를 하루 1~3잔 미만 마시는 사람이 커피를 안 마시는 사람보다 사망위험이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루 3~5잔 미만, 5잔 이상의 경우에도 각각 사망위험이 2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각각의 커피 섭취량에 따라 사망위험이 20%, 35%, 28% 감소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이 같은 효과는 암 사망률(남 15%, 여 19% 감소)과 심혈관질환 사망률(남 27%, 여 27% 감소)에 대한 세부 분석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커피에 들어있는 클로로겐산, 카페인, 트리고넬린, 마그네슘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내고, 혈당 수치를 개선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연구의 결론은 기존에 서구에서 나온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지난 2017년 국제암연구소(IARC)와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은 유럽 10개국에서 50만명 이상을 상대로 연구한 결과, 커피를 하루에 3잔을 마시는 사람이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오래 사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