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제 정신'인가...'일본서기' 인용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유네스코에 접수

일본서기=식민사관인 任那日本府說의 근거가 된 역사서

2021-10-21     김승섭 기자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역사 바로 세우기에 발벗고 나서야할 문화재청이 오히려 역사적 논란을 만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인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문화재청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유네스코(UNESCO) 홈페이지에 게시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신청서'에 '일본서기'를 인용했다는 내용이 기재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게시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신청서'에는 합천 옥전고분이 '다라국의 대표 고분군'으로,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이 '기문국의 대표 고분군'으로 표기돼 있다. 그리고 기문국 명칭의 근거를 '일본서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서기'는 일본의 한국침략과 지배를 역사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의 근거가 된 역사서다.

구체적으로 일본의 야마토왜(大和倭)가 4세기 후반에 한반도 남부지역에 진출하여 백제·신라·가야를 지배하고, 특히 가야에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둬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하였다는 설. 

이런 가운데 특히 '일본서기'에 기록된 임나가 한반도가 아니라는 주장과 역사서의 기본인 연대 표기부터 틀리는 등 함량 미달이라는 학계 의견도 존재하는 상황에서 문화재청이 '일본서기'를 토대로 기문, 다라를 남원과 합천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박 의원이 국정감사 준비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를 지적하자, 문화재청은 '등재신청서가 이미 접수되었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질의에는 '대국민 토론의 장을 통해 양측의 의견 조율 및 관련 논란 해소 방안을 내년 6월 세계문화유산위원회 개최 전까지 마련해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할 문화재청이 역사 논란을 조장해서는 안된다"며 "문화재청이 하루빨리 학술대회 및 대국민토론회를 개최해 이 논란을 불식시킬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