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벼락' 화이자·모더나 백신...각각 웃지 못할 치열한 특허 분쟁중
WSJ "백신 중요 요소 누가 발명했는지 핵심" 모더나, 국립보건원과 분쟁...화이자도 소송
(내외방송=석정순 기자) 코로나19 백신 제조사인 모더나와 화이자가 각각 특허권을 두고 치열한 분쟁을 하고 있다고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WSJ는 "mRNA(메신저 리보핵산) 개발사인 두 회사가 특허권을 놓고 법정 싸움에 휘말렸다. 각각 수억원이 오갈 수 있는 법정 싸움에 휘말렸다"며 "누가 백신의 중요한 요소를 발명했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가 논쟁의 핵심이다"고 전했다.
모더나의 경우 분쟁은 백신 개발에 참여한 국립보건원(NIH) 소속 과학자들이 핵심 특허권자에 들어가야 한다는 요청을 거부한 것에서 비롯됐다.
모더나는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몇 년 전부터 NIH와 백신을 연구해왔다. 지난 7월 미국 특허 상표청에 백신 관련 특허 신청을 내면서 자사 소속 백신 개발팀만 기재했다.
다른 특허에 대해서는 NIH 측의 공로도 인정했지만 백신에 사용된 유전자 염기서열에 대해선 한치의 양보도 없었다. 모더나는 원만한 해결을 위해 특허 출원을 취소한 상태다.
화이자는 지난해 10월 샌디에이고의 제약업체 앨리얼 바이오테크놀로지로부터 소송을 당했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이 회사의 특허를 침해하는 단백질을 사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화이자 측은 즉각 이의를 제기했다.
모더나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아르부투스 바이오파마가 보유한 특허를 무효화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아르부투스 측은 모더나백신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특정 나노입자 발명을 주장하는데 모더나는 독자적인 나노입자를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WSJ는 더 많은 특허 소송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WSJ는 화이자가 모더나와 특허 관련 소송을 펼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모더나의 공동창업자이자 mRNA 기술 연구의 석학인 로버트 랭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석좌교수는 1400여 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데 특허 사용 관련 협상에서 두 회사가 합의를 보지 못한다면 소송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