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온열질환 내원→사망

온열질환으로 응급실 찾은 사망자 중 70대 이상이 절반...대부분 열사병

2022-07-21     김승섭 기자
국회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최근 5년간 온열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사망자 중 70대 이상이 절반 이상(50.5%)이었으며 사망 원인은 대부분 열사병(99%)으로 나타났다.

의사 출신인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자료를 제출받은 것과 이 같이 파악됐다.  

신 의원은 최근 5년간 온열질환 응급실 내원과 사망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기록적인 폭염의 한해였던 2018년 응급실 내원자와 사망자 수가 최다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8년 응급실 내원자는 전년 대비 187.5% 증가한 4526명이었고, 사망자는 전년 대비 336.4% 증가한 48명이었다. 

이후 내원자와 사망자 수는 2020년까지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다 2021년 소폭 상승하며 내원자 1376명, 사망자 20명이 발생했다.

온열질환 종류별 응급실 내원은 열탈진(54.7%)이 가장 많았고, 사망은 열사병이 원인인 경우가 전체 사망자 99명 중 9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에 신 의원은 "기후위기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살인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앞으로 찜통 더위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정부는 기후 변화가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고령자를 비롯한 사회적 취약계층, 취약지역에 대한 보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500여 개)의 자발적 참여로 운영되는 표본감시 결과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발생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