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미생물 바이러스 잡아 바이오화학산업 이끈다...KAIST-우한대 공동 연구
파지, 미생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바이오화학산업에 치명적 '외가닥 DNA' 파지 방어 원리 발견해 대장균에 내성 부여
(내외방송=정지원 과학전문 기자) 미생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에 저항성을 갖는 대장균 균주 개발이 성공해 앞으로 바이오화학산업 발전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KAIST는 15일 '내외방송'에 보낸 자료에서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이 시 첸, 리안롱 왕 중국 우한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파지 저항성을 갖는 대장균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파지는 미생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파지에 감염된 미생물은 생리학적 특성이 크게 달라지거나 죽기도 해 바이오화학산업에 치명적이다.
연구팀은 대장균 3234/A 균주에 존재하는 '외가닥 DNA'라는 신규 파지 방어 원리를 발견하고 규명해 산업에 유용한 여러 대장균 균주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유전체에 외가닥 DNA 방어 체제를 도입하고, 파지 생애주기에 필수적인 유전자 변형 등 체계적인 엔지니어링 전략을 개발했다.
이 전략들은 파지 공격에 취약한 대장균 균주에 대해 파지에 대한 내성을 부여할 수 있어 고농도의 파지 환경에서도 기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을 기반으로 한 유용한 화학제품을 만드는 데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달 2일 게재됐다(논문명: Systematic strategies for developing phage resistant Escherichia coli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