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y 5.0]지역 혁신 활동으로 사회 문제 해결!...'제26차 한국 리빙 랩 네트워크 포럼'
로컬 혁신 활동 연결해 혁신 활동 촉진...사회적 과제 해결과 조직화 전략 논의
(내외방송=정지원 과학전문 기자) 각 지역을 연결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제26차 한국 리빙 랩 네트워크 포럼'이 경남대학교에서 개최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은 7일 '내외방송'에 보낸 자료에서 "이 포럼은 이날 오후 2시 경남대학교 WISE LINC 3.0 사업단과 함께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로컬에서 트랜스 로컬로: 리빙 랩 기반 지역혁신의 심화와 확장'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 포럼에서는 로컬 혁신 활동을 연결해 경험을 학습하고, 혁신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을 조직화해나가는 '트랜스 로컬 전략'이 논의됐다.
리빙 랩이란 생활 영역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주민이나 전문가 등이 참여해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공간이다.
성지은 과기정책연 선임연구위원은 '리빙 랩 기반 지역 혁신을 심화·확장하는 트랜스 로컬 전략'을 주제로 국가와 지자체, 지역 대학의 역할을 강조했다.
강재관 경남대 산학부총장은 '리빙 랩을 통한 교원 창업 사례: 인공지능 기반 쓰레기 무단투기 감시 로봇'에 대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어 서정주 한국에자이 이사가 '트랜스 로컬 기업 사회 혁신 프로젝트의 성과와 과제'를, 고대권 이노소셜랩 대표는 '지역 도전 과제 해결과 기업의 ESG 활동'을 이야기했다.
토론에서는 송위진 한국리빙랩네트워크 정책위원장이 좌장을 맡고 ▲김인호 울산리빙랩네트워크 사무국장 ▲문보경 사회투자지원재단 이사 ▲양정윤 네덜란드교육진흥원장 ▲장성오 복지유니온 대표 ▲정은희 경남대 공유협업센터장이 참석해 로컬 리빙 랩 프로젝트의 심화와 확장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논의했다.
이 포럼은 한국리빙랩네트워크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