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야당 추천 아닌 대법원장 추천이라면 특검 수용 가능"

전당대회 후보자들과의 차별성 부각하며 대안정당 강조해 당 대표 선출 여부에 이목 집중

2024-06-24     박용환 기자
한동훈

(내외방송=박용환 기자)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채해병 특검에 대해 찬성입장을 밝히자 나경원, 원희룡, 윤상현 후보들이 즉각 반발에 나선 가운데, 한 전 위원장은 "특검을 반대하는 국민의힘의 논리는 법적으로 타당하다"면서도, "보훈과 안보에 관한 특성과 그걸 바라보는 민심을 감안하면 법적인 논리로 특검을 안 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며 차별화에 나섰다.

한 전 위원장은 오늘(24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의 인터뷰에서 "안보와 보훈은 보수의 강점임에도 불구하고 보수정권 하에서 채해병 사망사건이 발생한 것은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해야 한다"며, "징병제 하에서 좋든 싫든 청춘을 바쳐야 하는 구조에서는 장병들에게 충분히 예우하고 재발방지책을 확실히 만들고 책임자를 엄벌하는 것이 보수정부로서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되는데 그 점에 있어 국민들이 부족했다고 여기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국민의 민심을 다르겠다는 상황에서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것으로 이 문제를 정면돌파해야 논란과 의구심이 사라질 것"이라며, 정면돌파를 선언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제출한 특검법과는 차별화를 부각했다.

이에 대해 한 전 위원장은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배제한 상태에서 특검을 고르는 것은 선수가 심판을 정하는 구도"라며, "그렇게 되면 경기가 끝나도 누구도 승복하지 않아 논란이 계속 반복될 수밖에 없어 민주당의 법안은 절대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합리적 대안으로 제3자 특검으로 대법원장이 특검을 선정한다면 공정한 시스템이 될 것"이라며, "과거 MB특검이나 유전 특검에서 그랬던 전례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 전 위원장의 제안에 대해 나머지 당 대표 후보자들은 즉각 반발했다.

나경원 의원은 "순진한 발상이고 위험한 균열"이라고 비판했고,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은 "분열은 공멸"이라고 각을 세웠으며, 윤상현 의원은 "민주당 대표의 선언인줄 알았다"고 공세를 펼쳤다.

이에 대해 한 전 위원장은 "지금의 민심을 감안하면 자신의 제안 정도가 아니면 이 논란을 종결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순진한 발상"이라며, "국민의 마음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몸부림을 국민들에게 보여야 한다"고 특검 수용을 강하게 피력했다.

한편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한동훈 전 위원장의 채해병 특검법 수용 원칙에 대해 대통령실이 "야당식 정치", "내부총질"이라며 강하게 불쾌감을 드러냈다고 전해져, 한 전 위원장의 '마이웨이' 행보가 당 대표 경선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