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사저 세금으로 매입? 국민의힘에서도 온도차

윤상현 의원, "역사적 화해와 국민통합 차원 접근해야" 찬성 입장 김재원 최고, "매각 과정 의혹 해소돼야 논의 가능" 신중론 제기

2024-08-09     박용환 기자
국민의힘

(내외방송=박용환 기자) 최근 김대중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가 상속세로 인해 일반인에게 매각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더불어민주당과 새로운미래를 중심으로 사저를 국가와 지자체가 매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이에 대해 온도차가 발생하는 모습이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오늘(9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의 인터뷰에서 국비 투입에 찬성의사를 밝히며, "(김대중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는) 민주화의 역사성이 있는 곳으로 민주당의 동교동이 아니라 역사의 동교동이고 민주주의의 동교동이고 국민의 동교동이기 때문에 국민이 함께하는 동교동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역사적 화해와 국민통합의 실마리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올해 9월 15일부터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는 만큼 근대문화유산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반면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 배승희입니다'에 출연해 "매각 과정에 의문이 있는 만큼 국가에서 매입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한 모든 의혹이 말끔히 해명되고 난 다음에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미 김대중 대통령의 생가를 보존하고 공원화해서 역사적 유적으로 만든바 있고, 광주에 김대중 컨벤션센터와 같은 기념관이 있다"며, 신중론을 펼쳤다.

한편 김대중 대통령과 부인 이희호 여사의 아들인 김홍걸 전 의원이 약 17억 원의 상속세가 부담돼 사저를 100억 원에 매각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하자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사저 재매입을 위해 자신의 사재를 전부 내놓겠다고 말했고, 정청래 의원은 정부와 서울시가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가 어떻게 결론내려질지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