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로 전기차 우려 해소될까?

지하주차장 소방시설 긴급 점검 등 방안 모색

2024-08-13     박인숙 기자
전기차

(내외방송=박인숙 기자) 최근 전기차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를 두고 정부가 제조사에 모든 정보를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 다만 권고인 만큼 강제성이 떨어져 제조사가 얼마나 응할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오늘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개최하고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불안과 우려를 해소하고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집중했다.

정부는 지난 6월 24일 화성 아리셀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를 계기로 환경부를 중심으로 지하 전기충전기와 관련시설에 대한 소방·안전 여건을 점검했지만, 8월 1일 인천의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를 계기로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범정부적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우선 정부는 전기차 소유주의 화재불안 우려를 감안해 전기차 특별 무상점검과 함께 그간 비공개된 국내 보급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정보를 모든 제작사가 자발적으로 공개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공동주택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창 화재대응 취약요인에 대한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의 긴급점검에 나설 방침이다.

방기선 실장은 "이번 대책은 국민의 일상생활 속 안전과 직결된 사항인 만큼 대책 발표 이전이라도 개선할 수 있는 사항들은 조속히 시행하고, 개선방안은 철저히 국민의 눈높이에서 검토해달라"고 관계부처에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