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불법 아편 양귀비' 즉각 적발한다...향후 과학 수사에 큰 기여할 듯
국립생물자원관, 김창배 상명대 교수 연구팀과 기술 개발에 성공
(내외방송=이수현 기자) 아편 성분이 포함된 불법 양귀비를 복잡한 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고 판별해내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하 생물자원관)은 인공지능(AI)에 기반해 양귀비 종 판별 DNA 빅데이터 분류 기술을 개발했다고 오늘(23일) 밝혔다.
양귀비는 전 세계적으로 약 110여 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아편 성분이 포함된 ▲파파베르 브락테아툼(Papaver bracteatum) ▲파파베르 세티게룸(Papaver setigerum) ▲파파베르 솜니페룸(Papaver somniferum) 3가지 종은 재배할 수 없다. 이 재배 금지 종은 아편 성분이 없는 다른 종들과 비슷해 육안으로는 구별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아편 성분이 포함된 양귀비를 구분하기 위해 유전자 표시자(genetic marker) 기반의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 효과적인 판별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생물자원관은 지난 2021년부터 김창배 상명대 교수 연구팀과 DNA 염기서열을 AI에 기반해 양귀비 종을 판별하는 기술을 연구해 왔다. 이 기술은 양귀비 21종에 대한 DNA 염기서열을 이용해 1단계에서 양귀비 속(Papaver) 중 아편 성분이 있는 3가지 종을 분류(정확도 88.9%)한 다음 2단계에서 3종 중 특정 종을 판별(정확도 100%)할 수 있는 층위 단계별 분석 방법을 적용했다.
생물자원관은 이 기술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양귀비 종의 판별 결과를 도출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과학수사 등에서 불법 양귀비 적발 시 도움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