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기업 생산성 제고 위한 전략 담긴 '임금‧HR연구' 발간
저성장, 글로벌 경쟁, 초불확실성 속 생산성 향상은 지속가능한 성장 위한 핵심
(내외방송=박인숙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오늘(2일) '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주제로 정기간행물 '임금‧HR연구' 2024년 하반기호를 발간했다.
경총은 ▲저성장 ▲저출생·고령화 ▲디지털 전환 등 대변혁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임금‧HR연구' 하반기호 특집주제를 '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으로 선정하고, 인사관리 전반의 대응전략과 국내외 기업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전달하고자 했다.
한보연 EY컨설팅 파트너는 주제발표를 통해 "저성장, 글로벌 경쟁 심화, 초불확실성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생산성 향상은 기업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핵심 전략이자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HR 대응 전략으로 ▲적정인력 산정을 통한 전략적 인력계획 수립 ▲성과 차등 보상 및 직무급 도입을 통한 인건비 효율화 ▲인정과 보상을 통한 구성원 몰입도 향상을 제시하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업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세부적 인사관리 대응전략으로 윤정구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2023년 발표한 갤럽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업무에 몰입한 근로자 비율이 12%로 125개국 중 107위, 몰입도가 심각하게 낮은 근로자 비율이 65%로 125개국 중 54위에 해당하는 등 우리나라 근로자의 직무몰입이 국제적으로 최하위 수준"이라며, "기업의 노동생산성이 제자리임에도 평균임금을 상승시킨다면 임금발 인플레이션의 직격탄을 맞는다"고 경고했다.
윤 교수는 "일을 통해 충족되지 못한 성취와 의미를 복지나 금전으로 보상받았던 X세대와 달리, 최근 일터의 주요 구성원으로 떠오르고 있는 MZ세대는 물질적 성공, 일을 통해 얻는 성취와 의미 모두를 중시한다"며, "이들의 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공정한 보상과 함께 일하는 과정에서 마음껏 실험하고 실수하며 성과를 내는 방법을 터득하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생성형 AI활용이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박은연 실리콘밸리 HR 포럼 회장은 "생성형 AI를 사용해 단순히 인건비를 얼마나 절감할 수 있는지가 아니라, 경영과 인사가 기술 혁신 속도에 맞춰 노동력의 빠른 성장을 주도하고, 시장의 니즈에 상응하는 인재를 확보하고 포용적인 문화 및 제도로 이들의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성공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생성형 AI 혁명을 주도하는 기업들 중 중장기적 인재유지를 목표로 주식보상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엔비디아(Nvidia)', 다양성‧포용성이 있는 조직문화를 강조하고 있는 '오픈에이아이(OpenAI)' 등 해외 주요 기업 사례를 소개했다.
이 외에도 ▲윤명훈 원티드랩 실장 ▲김동욱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김성진 딜로이트컨설팅 파트너 ▲이피어나 핀터레스트 피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현순엽 전 Sk하이닉스 부사장 ▲이재은 SC제일은행 인사그룹팀장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한 제언을 실었다.
경총은 "우리 근로시간이 비약적으로 감소하면서 이제 OECD 평균에 근접했지만, 노동생산성의 향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산성 향상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정한 평가 및 임금체계 구축, 비효율적 업무 프로세스 개선, 근로자 업무 몰입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시급히 강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