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선도도시' 대상지로 전국 4곳 선정돼

충남 당진시, 충남 보령시, 제주도, 서울 노원구...재생에너지 보급 및 에너지 효율 높이는 방식

2024-10-31     이수현 기자
기사와는

(내외방송=이수현 기자) 환경부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지역의 탄소중립을 선도할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사업' 대상지 4곳으로 ▲충남 당진시 ▲제주도 ▲충남 보령시 ▲서울 노원구가 선정됐다고 오늘(31일) 밝혔다.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사업'은 탄소중립 사회로 본격 전환됨에 따라 지역과 민간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이행하고 확산하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이다.

'충남 당진시'는 당진 화력발전소의 연료 연소로 인해 매우 높은 배출 비율을 차지하는 에너지·산업 부문을 중점으로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또한 염해지와 농지 등을 활용한 태양광, 풍력 및 수소도시 사업과 연계한 연료전지 발전사업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서부권, 동부권, 도심권 등 3개의 권역으로 나눠 에너지 생산 시설과 축산 농가가 모여 있는 등 지역의 특성에 따라 배출원별 다양한 사업을 제안했다. 유기성 폐자원과 바이오에너지 순환 체계 구축 및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로의 전환을 중점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충남 보령시'는 ▲수소도시 사업 추진 경험 ▲태양광 및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 지역의 강점과 축산분뇨 배출 최상위권이라는 지역 특성을 살려 에너지·폐기물 부분을 중점으로 감축하겠다고 제안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교통 수단 확대 및 유기성 폐자원 통합 바이오가스 생산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 노원구'는 노후화로 인해 직면한 재개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건물·인프라 부문을 중점으로 감축 계획을 제안했다. ▲도심형 태양광 보급 ▲분산형 전원 도입 ▲주거단지 및 재개발 지구의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예정이다.

이에 환경부와 국토부는 내년까지 대상지 4곳의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 규모와 국비 지원 규모를 결정하고, 기본계획을 토대로 오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 선도도시'를 본격적으로 조성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