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 및 고용 구조는 어떻게 변화할까?
AI 도입 및 활용 기업 18.3%...10년 뒤 고용 13.9% 감소할 것 예측
(내외방송=이지현 기자) 한국고용정보원은 디지털 전환(자동화, AI)이 한국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오늘(12일)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디지털 전환으로 영향을 미치는 산업 및 인력수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20개 업종 1,700개 사업체와 업계 전문가 3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디지털 혁신·전환 및 활용 목적의 경우 ▲'제조업'은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서비스업'은 업무 편의성 개선 및 소비자의 편익 증진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디지털 전환 기술은 '인공지능(AI)'으로 나타났으며, 'AI 기술을 도입해 현재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18.3%에 불과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전환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활용될 시 고용 규모 변화는 향후 5년 뒤 8.5% 감소, 10년 뒤에는 13.9% 감소할 것으로 응답돼 노동력 부족을 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 전환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별로는 ▲음식숙박업(2028년 -14.7%) ▲운수·물류업(2035년 -21.9%)에서 고용 감소폭이 클 것으로 응답했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직무에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인지적 특성을 가진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의 경우 보완 및 도움(74.2%)을 준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자동화의 영향을 받는 '설치·정비·생산직'에서 대체(63.3%)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디지털 전환과 활용이 활발하게 전개될 경우, 평균 근무시간은 감소하고 평균임금은 증가하는 등 노동의 질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했다.
아울러 '직업별 일자리 대체 가능성'과 관련해 직업 분류별로는 숙련도를 요구하는 '전문가'와 대면 업무가 주를 이루는 '서비스직'은 대체 가능성이 낮을 것(21~40%)으로 응답한 반면, ▲사무종사자 ▲판매종사자 ▲장치기계조립 ▲단순노무 직군에서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61~80%)으로 집계됐다.
직무 유형별로는 ▲단순반복 직무 ▲반복적이지 않은 육체적 직무 ▲반복적이지 않은 사고·인지 직무 순으로 노동력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