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까지 반도체 및 자동차 수출 역대 최대치 기록
정부, 향후 미국 신 정부 출범 대비 강조
(내외방송=이수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박성택 제1차관 주재로 오늘(25일)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개최해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리스크를 점검하고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우리 수출은 1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1~10월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 9.0% 증가한 5,658억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도 17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으며, 10월 누계로는 396억 달러 흑자로 지난 2018년 이후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10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15대 품목 중 9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지난해 11월 플러스로 전환한 이후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며 10월까지 누적액이 역대 최대실적인 1,150억 달러(+47.2%)를 기록했다.
2위 수출품목인 자동차 역시 591억 달러를 기록해 기존 역대 최대실적인 2023년 580억 달러를 경신했다. 선박 수출도 전년 대비 20.2% 증가한 200억 달러로, 주요 품목 중 ▲컴퓨터(+67.6%, 103억 달러) ▲반도체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박성택 차관은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급증하고 있다"며, "아직까지는 주력 품목을 위주로 견조한 수출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통상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시계를 중기까지 확장해 대외 교역환경을 정밀 진단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향후 미국 신(新)정부 출범 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불확실성을 줄여주고, 기회요인은 살리는 방향으로 기업들의 수출활동을 적극 뒷받침해야 한다"며, "민관이 원팀으로 긴밀한 소통과 면밀한 상황점검을 통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