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MD 국가경쟁력 28위, 전년보다 1단계 하락
한국 IMD 국가경쟁력 28위, 전년보다 1단계 하락
  • 곽용귀 기자
  • 승인 2023.06.20 09:2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성과' 상승에도 '정부효율성' 하락, 에너지 수출국 순위 크게 올라
(사진=pixabay)
(사진=pixabay)

(서울=내외뉴스) 우리나라가 올해 IMD(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전년보다 1단계 하락한 28위를 기록했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성과'에서 8단계나 상승했으나 정부효율성에서 2단계가 하락하면서 64개국 중 28위로 전년보다 1단계가 하락했다.

한국은 지난 2016년과 2017년 29위를 차지한 후 2018년 27위, 2019년 28위를 기록했다. 이어 2020년과 2021년에 23위까지 올랐지만 2022년 27위로 내려갔고 올해 1단계가 더 내려간 28위를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경제성과'가 22위에서 14위로 크게 상승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한 반면, '정부효율성'은 36위에서 38위로 소폭 하락했고, 기업효율성(33위), 인프라(16위)는 전년과 같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경제성과'의 경우 국제무역(30→42위)을 제외한 국내경제(12→11위), 국제투자(37→32위), 고용(6→4위), 물가(49→41위) 등의 순위가 모두 올랐다.

반면 '정부효율성'은 재정(32→40위), 제도여건(31→33위), 기업여건(48→53위)에서 순위가 내려갔다.

특히 2018년부터 하락세가 지속된 재정은 전년 재정적자 및 국가채무 악화 등이 반영되면서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기업효율성'에서는 생산성(36→41위), 금융(23→36위)은 하락했지만, 노동시장(42→39위), 경영관행(38→35위), 태도·가치(23→18위)는 상승했다.

또 '인프라'는 기본(16→23위), 기술인프라(19→23위)는 하락했지만, 과학인프라(3→2위), 보건환경(31→29위), 교육(29→26위)은 상승했다.

한편 전체적인 부분을 살펴보면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 등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이 반영되면서 독일(15→22위), 영국(23→29위), 프랑스(28→33위), 일본(34→35위) 등은 하락한 반면, 카타르(18→12위), 사우디아라비아(24→17위), 바레인(30→25위), 말레이시아(32→27위) 등 에너지 수출국들의 순위가 크게 올랐다.

이 중 바레인과 말레이시아는 전년에는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지만 올해 역전했다. 덴마크는 지난해에 이어 1위를 기록했고, 아일랜드는 지난해 11위에서 올해 2위로 껑충 뛰었다. 

기재부는 "기업환경 개선 노력과 적극적인 위기 대응으로 경제성과가 역대 최고 순위로 상승했지만, 재정 등 '정부 효율성'의 하락세가 국가경쟁력 하락을 주도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재정준칙 입법화 등 건전재정 노력과 공공혁신 가속화를 통해 정부 효율성을 높여 나가는 한편, 3대 구조개혁과 규제개혁 등 경제 전반의 체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노력을 배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늘의 이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 : (주)내외뉴스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690
  • 인터넷신문등록일자 : 2017년 09월 04일
  • 발행일자 : 2017년 09월 04일
  • 제호 : 내외방송
  • 내외뉴스 주간신문 등록 : 서울, 다 08044
  • 등록일 : 2008년 08월 12일
  • 발행·편집인 : 최수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3 (뉴스센터)
  • 대표전화 : 02-762-5114
  • 팩스 : 02-747-534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유진
  • 내외방송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내외방송.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nwtn.co.kr
인신위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