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ARS, 음성안내 화면 보고 키패드로 터치‧입력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서울시는 장애인과 어르신 등 세금 납부에 불편함을 겪었던 취약계층도 편리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무인납부기를 개선했다고 5일 밝혔다.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 전용 공간에서, 본인 눈높이의 화면을 터치하고 카드결제까지 손쉽게 할 수 있다.
우선 기존 은행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기(ATM·CD기, 무인공과금납부기)와 달리 이용자 눈높이에 맞게 화면이 위아래로 조절된다.
저시력인을 위해 약 200% 화면확대 기능을 도입했다. 색각이상인을 위해서는 글자, 버튼, 배경 등을 검정‧흰색으로 표시해 명암구분이 가능한 ‘고대비 기능’을 만들었다. 또 시각장애인들은 점자키패드를 이용하거나, 이어폰을 연결해 음성 안내에 따라 세금을 납부할 수 있다.
서울시는 무인납부기를 서울시청, 25개 자치구청, 10개 복지시설까지 총 36개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6일부터 마포구청과 궁동종합사회복지관 두 곳에서 약 2주 동안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11월 말까지 모두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무인납부기를 통해 지방세, 세외수입, 상하수도요금을 납부할 수 있으며 이용시간은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까지다.

‘보이는 ARS’는 기존 음성 ARS를 이용하기 어려웠던 청각장애인을 고려하고 시민들의 납세 편의를 높이기 위해 도입됐으며 4일 오전 9시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원하는 서비스가 나올 때까지 음성을 끝까지 들을 필요가 없고, 번호를 잘못 눌렀을 경우엔 화면을 보고 원하는 메뉴를 바로 터치할 수 있다. 시는 이번 서비스로 인해 이용 시간이 기존보다 30초 이상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시는 두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서비스를 받다 장애가 발생하거나 문의사항이 생기면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서울시 인터넷 세금납부 시스템 '이텍스(ETAX) 고객센터'와 연계해 운영한다. 보이는 ARS 화면의 “상담원연결”을 선택하거나 무인납부기에 부착된 전화기를 통해 서울시 이텍스 고객센터로 자동 연결되며 상담사로부터 이용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서문수 서울시 세무과장은 “보이는 ARS 서비스와 장애인‧어르신 대상 특화 무인납부기 설치‧운영을 통해 그동안 불편을 겪었던 장애인, 어르신뿐만 아니라 모든 시민이 보다 편리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서울시는 시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편의성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