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병변장애인비전센터’...장애인 교육+돌봄+건강 원스톱 지원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서울시는 올해 돌봄 분야 사회서비스 전담기관인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이 직접 운영하는 첫 국공립어린이집 5개소의 문을 연다.
또한 장기요양, 장애인활동지원 등을 담당하는 '종합재가센터'도 9개소를 추가 운영해 총 13개소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0년 달라지는 서울복지'를 9일 발표했다.
올해는 공공의 완전한 돌봄을 통한 ‘따뜻한 복지 출발선’을 목표로 복지 분야에 과감하게 투자해, 복지 인프라를 확충하고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달라지는 복지 분야에 대해 공공돌봄 강화,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어르신·50+세대, 장애인 지원사업 등 4개 분야의 16개 주요 정책을 새롭게 소개했다.
먼저 돌봄SOS센터 시행 자치구를 기존 5개구에서 13개 자치구로 2배 이상 확대해 돌봄이 필요한 시민의 복지욕구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형광등 교체와 같은 일상적 도움부터 가사·간병까지 돌봄매니저가 직접 가정에 방문해 필요한 복지를 파악하고 맞춤서비스를 연계해 준다.
또 7월부터는 기존 공적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됐던 50세 이상 장년가구까지 서비스 대상을 넓혀 사각지대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사각지대 없는 복지'를 구현하기 위해 더욱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생계·해산·장제급여의 인상을 통해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위기가구 발굴범위를 확대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힘쓴다.
어르신과 중장년의 안락하고 편안한 노후를 위한 인생2막 지원도 강화한다. 시는 올해 9월까지 50+북부캠퍼스 1개소를 포함한 50+센터 4개소를 추가로 확충해 올해 총 14개소로 확대해 지원한다.
또한 독거어르신의 안전과 건강관리를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2500대 확대 보급한다. 생활이 어려워 끼니를 챙기기 어려운 저소득 어르신 3만명에게는 무료 급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인 권리보장을 위한 노력도 계속된다. 서울시는 올해 전국 최초로 '뇌병변장애인비전센터' 2개소를 신규 설치해 중증뇌병변장애인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 돌봄과 건강 종합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더불어 장애인의 주거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탈시설 지원도 확대·강화한다. 퇴소자 정착금을 전년 대비 100만원에서 1300만원으로 증액 지원한다. 활동 보조시간도 기존 50시간에서 120시간으로 확대해 탈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밖에도 올해 저소득 보훈대상자 생활안정을 위한 독립유공생활지원수당 월 20만원 신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4만5000명 지원, 중장년과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 등 보다 나은 복지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강병호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올해 돌봄에서 공공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서울시민 한명 한명에게 공정하고 따뜻한 복지 출발선을 보장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내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