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상현 기자)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일고 있는 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연기론'에 대해 대권도전에 나서고 있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현재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는 좀 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고 하는 것이 저의 생각이다"고 밝혔다.
정 전 총리는 이날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새아침'에 출연, "꼭 연기해야 된다라기 보다는 경선 연기에 대한 주장이 있으니 당은 충분히 그걸 의논하는게 좋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전 총리는 그 이유로 "현재 상황을 보면 코로나 사태도 그렇고, 또 선거라고 하는 것은 상대가 있는 거 아니냐"며 "상대가 어떻게 하느냐와 보조를 맞추는 것도 매우 중요한데 상호경쟁을 하는 거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보면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일부 경쟁주자들이 경선시기조절과 관련해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경선 시기조절은 당헌 개정사항이 아니라 당무회의의결 사항"이라며 "당헌을 바꿔야한다며 그 문제와 결부시키는 것은 견강부회(牽强附會)다"고 일침을 놨다.
정 전 총리는 자신의 지지율 추이에 대해 "이제 좀 나아지는 것 같다"고 하면서 "출마선언을 하고, 정책적인 노력도 하고 국민과 소통도 하고 하면 당연히 나아질 걸로 본다"고 자신했다.
추미애 전 법무장관이 당 경선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후보들이 많은 게 좋다고 본다. 그래야 당원들이나 국민의 선택권도 넓어지고 많은 사람들 중에 선택을 해야 최고의 좋은 후보가 선택될 것 아니겠느냐"고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정 전 총리는 그러면서도 "후보의 선택은 경선을 하는 과정에서 이뤄진다. 지금까지 보다는 앞으로가 중요할 것"이라며 "후보자 등록을 하고나서 본격적인 레이스가 시작이 되면 그때부터 제대로 검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덕성과 능력에 대한 검증이 매우 중요하다"고 견제구를 날렸다.
정 천 총리는 "그래서 아직은 검증들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선 프로세스라고 하는 것은 국민들이 도덕성과 능력을 검증하는 것"이라며 "그리고 미래 비전이 있느냐 없느냐를 검증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과정을 통해서 후보자의 우열이 가려지고 새로운 후보가 나오기도 하고 부침이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