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10% 이상 증감'하면 '심혈관질환·사망률' 더 높아져
비만도보다 '체중 변화 정도'가 더 의미 있어

(내외방송=정지원 기자) 체중이 5% 이상 변화한 당뇨 환자는 '심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서울대병원 김형관 교수팀과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은 2009~2012년에 두 차례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당뇨 환자 152만 2241명을 대상으로 '체중 변화와 심혈관질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최근 국내 당뇨병 유병률은 13.8%다.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1명이 당뇨 환자다.
이들은 일반인에 비해 심근경색과 뇌졸중 같은 '심혈관질환'이 발생하기 쉽고, 사망률도 높다.
비만까지 있다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혈당 농도 ▲혈압이 상승할 수 있어 심혈관질환 발생 확률을 더 높인다.
이 경우 비만한 당뇨환자에게는 '체중을 감량'하라는 진료 지침이 내려진다.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당뇨환자 152만여명의 체중 변화를 측정했다.
환자를 ▲10% 이상 체중 감소 ▲5~10% 체중 감소 ▲안정체중(증감 5% 미만) ▲5~10% 체중 증가 ▲10% 이상 체중 증가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후 7년 동안 ▲심근경색 ▲뇌졸중 ▲심방세동 ▲심부전 ▲사망의 발생 여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안정체중에 비해 '5% 이상' 체중이 증감한 환자들은 모두 연간 '심혈관질환'의 발생 확률과 '사망률'이 높았다.
'10% 이상' 체중이 증감한 환자들은 이 확률이 더 크게 증가했다.
환자의 체중이 증감한 정도가 클수록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더 높아지는 'U자 모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뜻이다.
이 상관관계는 당뇨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에는 비만도보다 '체중 변화 정도'가 더 유의미하게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김형관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비만이 있는 당뇨 환자의 체중 감소를 무조건 긍정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환자의 체중이 감소할 경우 혈당수치와 식습관, 운동법과 다른 질환 발생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연구는 내분비대사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의학 학술지인 'Diabetes Care(IF 19.112)'에 지난 3월 9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