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여 디자인 혁신에 크게 기여할 것

(내외방송=정지원 과학전문 기자) 영화 스파이더맨에서 완성된 3D 스케치가 프린트되면서 멋진 수트가 완성되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앞으로 원하는 그림을 3D로 만들어서 프린트할 수 있는 날이 눈 앞으로 다가왔다.
KAIST는 18일 '내외방송'에 보낸 자료에서 "배석형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연구팀이 펜 드로잉과 멀티터치 제스처만으로도 '움직이는 3D 스케치'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3D 캐드 소프트웨어로도 입체적인 모습을 표현할 수 있었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모든 디자인이 종이 위에 펜으로 빠르게 그린 2D 스케치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디자이너가 디지털 태블릿 위에 디지털 펜으로 자유롭게 표현한 2D 스케치로부터 입체 형상을 생성하는 '3D 스케칭'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3D 스케치를 마치 장난감을 다루듯 두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멀티터치 제스처를 설계하고 구현했다.
순식간에 살아 움직이는 입체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움직이는 3D 스케칭' 기술이 완성된 것이다.
3D 공간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입체 형상과 같은 높은 수준의 창의적 결과물을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어 앞으로 콘텐츠나 제조, 메타버스 산업 디자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 교수는 "디자이너가 생각하고 작업하는 방식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효과적인 디자인 도구를 만들 수 있다"며 "직관적인 상호작용 방식을 통해 여러 상이한 알고리즘을 하나의 조화로운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준협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 연구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 국제 학술지인 'ACM 트랜잭션 온 그래픽스(ACM Transactions on Graphics)'에 게재됐으며 이달 초 캐나다 벤쿠버에서 개최된 최대 규모의 국제학술대회인 ACM 시그래프 2022에 발표됐으며 우수 전시상을 수상했다(논문명: Rapid Design of Articulated O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