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재생의료 시장 빠르게 성장 중...기업, 세표치료제 경험 적어 생산 비용 증가

(내외방송=정지원 과학전문 기자) 국제 첨단바이오의약품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마련한 '세포치료제의 생산과 비용 절감을 위한 점검 항목'이 발표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가줄기세포은행은 30일 "세포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 등을 이용해 개발되는 치료제로 희귀난치성질환 등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운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포치료제는 세포의 조직과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전 세계적으로 세포치료제를 포함한 첨단재생의료 시장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관련 기업 등의 생산 경험이 축적돼 있지 않아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보건연구원이 국제 전문가들과 함께 세포치료제나 원료 세포(세포치료제 생산에 사용하는 세포) 생산 경험을 토대로 이 점검 항목을 사례별로 발표한 것이다.
김정현 국립보건연구원 난치성질환연구과 보건연구관은 "세포치료제 생산 비용 절감을 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잘 짜여진 계획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국제 전문가들은 ▲생산 공정 자동화 ▲역분화줄기세포주(줄기세포처럼 다양한 분화 능력을 갖도록 유도한 세포) 분양 ▲세포의 기원과 출처 확인 ▲오염과 세포변형 등에 관한 엄격한 품질 관리 ▲연구 결과의 충분한 검증 ▲세포은행 구축 ▲체계적인 문서화 ▲사내 생산과 외부 위탁생산의 장단점 비교 등을 언급했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전문가들의 견해가 국정과제인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의 실용화를 촉진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