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로봇 조종사, 그 이름은 '파이봇'
세계 최초 로봇 조종사, 그 이름은 '파이봇'
  • 정지원 기자
  • 승인 2023.07.19 16:0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공지능·로보틱스·챗GTP 적용해 '신속·정확' 비행 가능
자동차와 장갑차 조작 가능...병력 자원 고갈 문제에 유용
2026년 완성될 것...민간·군용 사업화 모색
비행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조종 중인 파이봇.(사진=KAIST)
비행 시뮬레이터에 탑승해 조종 중인 파이봇.(사진=KAIST)

(서울=내외방송) 인간을 닮은 로봇이 조종하는 비행기를 탈 날이 머지 않았다.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파일럿 '파이봇(Pibot)'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심현철, 주재걸, 윤국진, 김민준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공동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언어로 작성된 조종 매뉴얼(운영 방법)을 읽고 이해하는 '자연어 처리 기반 인간형 조종사 로봇'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로봇 조종사는 인공지능과 로보틱스(로봇을 구성하는 장치) 기술을 적용해 항공기를 개조하지 않고 조종석에 그대로 착석한 후 다양한 장치들을 직접 조작해 비행을 선보였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서 로봇 조종사가 인간은 불가능했던 전 세계 항공 차트 (비행 지도)를 모두 기억해 실수 없는 조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챗GPT(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 조작 매뉴얼과 비상 대처 절차 등을 기억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이 기술이 가능하다면 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안전한 경로를 계산해 인간 조종사보다 훨씬 빠르게 비상 상황을 대처할 수 있다.

파이봇은 매우 정밀한 제어 기술을 통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도 정확한 로봇 팔과 손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사진=KAIST)
파이봇은 매우 정밀한 제어 기술을 통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도 정확한 로봇 팔과 손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사진=KAIST)

지금까지 로봇은 고정된 위치에서 반복적인 작업만 가능했지만, 로봇 조종사는 장착된 카메라로 조종석 내부와 항공기 외부 상황을 파악하고, 각종 스위치를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매우 정밀한 제어 기술을 통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도 정확한 로봇 팔과 손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로봇 조종사는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프로그램)에서 항공기의 시동부터 택싱(자력으로 유도로를 달림), 이착륙과 순항, 주기(비행 후 다음 임무 투입 전까지 잠시 머묾) 등 모든 조작을 수행하고 있지만, 연구팀은 앞으로 경비행기 조종을 통해 검증할 계획이다.

심 교수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장갑차(탑승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차량) 등 다양한 장치의 조작도 가능해 병력 자원 고갈이 심각한 현 상황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오는 2026년 개발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완성된 로봇 조종사는 민간과 군용 활용을 목적으로 사업화될 예정이다.


오늘의 이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 : (주)내외뉴스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690
  • 인터넷신문등록일자 : 2017년 09월 04일
  • 발행일자 : 2017년 09월 04일
  • 제호 : 내외방송
  • 내외뉴스 주간신문 등록 : 서울, 다 08044
  • 등록일 : 2008년 08월 12일
  • 발행·편집인 : 최수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3 (뉴스센터)
  • 대표전화 : 02-762-5114
  • 팩스 : 02-747-534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유진
  • 내외방송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내외방송.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nwtn.co.kr
인신위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