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는 8월 15일 직후가 유력해

(서울=내외방송)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8일 한상혁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후임으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를 지명하자, 관심은 15일 이후로 예정된 청문회로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여권은 "누구보다 언론과 방송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온 이 후보자가 편향되고 불공정으로 일관한 방송을 온전히 국민의 품으로 돌려줄 인사"라고 환영하는 반면, 야권은 "MB 시절 방송장악의 설계자였던 이 후보자를 방통위원장에 앉히는 것은 총선에서 이기기 위한 의도"라고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홍석준 의원 페이스북)
3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국회 과방위 소속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융합된 통합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할지 여부와 함께 공영방송에 대한 불공정 방만 경영 해결 등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실에서 이 후보자에 대해 좋은 평가를 내린 것 같다"고 대변했다.
이동관 후보자가 향후 방통위원장에 임명되면 '가짜뉴스 바로잡기, 공정한 방송 생태계 복원'을 내세운데 대해 홍 의원은 "가짜뉴스가 너무 많이 사회를 병들게 하고 국론을 분열시키고 있다"며, "공영방송 역시 노조가 장악해 공영방송으로서의 가치와 목적을 실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의 지명이 공영방송 민영화 추진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홍 의원은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전제를 달면서도 "▲YTN의 민영화 문제 ▲KBS 2TV 조건부 허가 문제 ▲MBC의 방문진과의 관계 등 고민해야 할 지점이 있다"고 언급해 여지를 남겼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이동관 후보자의 ▲아들 학폭 의혹 ▲MB정부 시절 방송장악 의혹 ▲아내를 통한 부정청탁 의혹 등에 대해 야당이 청문회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끝까지 야당을 설득하면서 청문회를 같이 하자고 하겠지만 만약 청문회 보이콧을 결정하면 그것은 이 후보자에 대한 결정적 한 방이 없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사진=조승래 의원 페이스북)
반면 같은 방송에 출연한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언론에서 보도되는 청문회 보이콧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철저한 검증을 위해 이동관 후보자가 자료 제출과 증인 채택의 야당 요구에 대해 전폭적으로 수용할 것을 제안한다"고 역공을 펼쳤다.
이어 조 의원은 "윤 정부 들어 청문회를 진행하고 청문보고서 채택이 안 된 후보자들 15명이 임명됐다"며, "청문회 제도가 갖고 있는 문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영방송 민영화와 관련해 조 의원은 "사실상 KBS 1TV만 남기고 전부 민영화 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KBS 1TV도 공영방송이 아닌 국정 홍보방송인 KTV와 같은 국영방송화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이에 대해 조 의원은 KBS 2TV와 MBC의 민영화를 추진하려면 법률을 개정해야 하기 때문에 내년 총선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동관 후보자에 대한 의혹에 대해 조 의원은 "방송장악 시도는 공소시효가 지나 처벌을 피해간 것이지 면죄부가 아니다"라며, "아들 학폭 역시 피해자 4명 중 1명만 피해를 받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나머지 3명은 현재 침묵하고 있는 상태"라고 주장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주중 이동관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사청문회법에 따라 임명동의안 제출 후 20일 안에 청문회를 마쳐야 하기 때문에 8월 15일 직후 청문회가 진행될 가능성이 유력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