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수현 기자) 질병관리청(이하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이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게서 심혈관질환을 조기에 예측 및 진단하고 중재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사업을 지원하면서 다국적 간학회가 기존 간질환 발생에 특화돼 있는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대신해, 간 지방증이 있고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인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5가지 위험인자 중 최소 1가지 이상을 가진 환자를 '대사이상지방간질환'으로 새롭게 정의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20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지방간질환자(MASLD)에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분석하기 위해, 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35만 명(47~86세)을 평균 9년동안 추적한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진은 "지방간이 없는 사람들 대비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이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19% 증가하였고, 특히 이들이 중등도의 알코올만을 섭취하여도 그 위험도가 28%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방간이 있는 경우 알코올 섭취가 심혈관질환 위험을 보다 높일 수 있어 금주와 절주가 꼭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eClinicalMedicine (논문 영향력지수 IF 15.1) 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박현영 국립조건연구원장은 "이번 연구는 최근 새롭게 정의돼 개정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을 가진 환자들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을 처음으로 확인한 의미 있는 연구로,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자의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예방을 위해선 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 및 실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