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출판문화협회, 피해 출판사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

(내외방송=임동현 기자)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지난 20일, '알라인 전자책 유출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출판사를 대상으로 출협 대강당에서 설명회를 진행했다.
이날 설명회를 주최한 '알라딘 전자책 유출 피해 보상 및 재발 방지 대책위원회'는 전자책 유출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와 재발 방지 대책, 알라딘과의 합의에 대한 내용을 피해 출판사와 공유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최우경 ㈜알라딘 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작년 5월 22일 이후 알라딘에 주셨던 질책과 지적에 대해 감사드리며, 다시 한번 사과와 쇄신의 말씀을 드린다"며 전자책 유출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최 대표는 "최고 전문가를 영입하여 시스템의 최신성과 안정성을 우선으로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전자책서점협의회를 통해 모니터링 등 재발 방지 활동을 계속해 나가겠다"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알라딘 전자책 유출 사건'은 지난해 5월 22일 알라딘 전자책 72만권이 해킹을 통해 유출된 사건으로 이 중 약 5,000권은 텔레그램에 유출됐다. 이후 알라딘의 대응을 놓고 출판계와 알라딘의 갈등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지난해 11월, 일부 출판사들이 알라딘에 전자책과 도서 공급을 중단하기도 했다.
출협은 알라딘 전자책 유출 사건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보안업체(주식회사 파수)와 전문가(성균관대학교 융합보안대학원장 김형식 교수,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박은일 교수)를 포함한 '알라딘 전자책 유출 피해 및 전자책 보안 실태 조사단'을 구성하여 알라딘을 대상으로 모의해킹을 포함한 보안 실태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전자책 뷰어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복호화키를 암호화하는 '시큐어 코딩'이 부재했고 전자책 다운로드 사용자 검증 코드가 부재해 전자책 보안 시스템인 DRM이 해제되어 해킹이 이루어졌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편, 출협은 지난해 12월 19일 피해를 입은 출판사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피해 출판사가 직접 참여하는 '알라딘 전자책 유출 피해 보상 및 재발 방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직접 참여가 어려운 출판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함께 진행하여 합의 방식과 추후 재발 방지 대책 등에 대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고, 이를 토대로 대책위는 알라딘과 협의해왔다.
이를 통해 보상금의 경우 현재 알라딘이 제시한 위로금을 받아들이되, 최종적이거나 불가역적인 것이 아닌 열린 합의를 통해, 향후 피해가 확인이 될 경우 추가로 보상을 협의할 수 있도록 했다.
대책위는 위로금 수령에 대한 동의 여부 등 최종 판단은 출판사가 하되, 반드시 저작자와 협의하여 결정할 것을 강조했다.
대책위는 재발방지책으로 유통사와 출판사간의 비균형적인 계약 및 거래 관행 개선, 유통사 보안상태의 정기 점검 방안(모의 해킹 등) 마련, 전자책 유출 시 징벌적 보상제도 도입, 표준 DRM의 개발 및 보급을 제시했다.
또 유출 사고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출판계의 독자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이 최선이나 현실적인 어려움을 감안할 때 한국저작권보호원이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관련 활동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유출이 발생하면 유통사의 출판사에 대한 즉시 보고를 의무화시키고, 고의적으로 은폐할 경우 페널티를 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출판사와 유통사간 '전자책 유통 및 저작권 보호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고 알라딘은 1차적으로 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대책위원회는 출판계의 저작권 보호 활동을 위해 알라딘으로부터 2억 원 출연을 약속받았다고 밝히고, 전자책 보안 실태조사와 출판계의 독자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비용, 협의체 운영 비용 등으로 사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내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