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박인숙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늘(2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된 의료용 마약류 취급내역을 분석해 '2023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를 발표한 결과, 지난해 우리 국민 중 약 절반이 의료용 마약류를 복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총 1,991만 명으로 처방량은 18억 9,411만 개로 집계됐다. 전체 환자 수는 전년 대비 45만 명이 증가했고 처방량도 2,051만 개 늘어났지만 1인당 처방량은 소폭(-1.1%)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21.2%(418만 명)로 가장 많았고, ▲60대 19.7%(389만 명) ▲40대 19.7%(388만 명) ▲30대 12.5%(246만 명) 순이었다.
효능군별 처방량은 '항불안제'(9억 1,824만 개, 48.5%)가 가장 많았고 ▲최면진정제(2억 9,879만 개, 15.8%) ▲항뇌전증제(2억 3,428만 개, 12.4%) ▲식욕억제제(2억 2,700만 개, 12.0%) 순이었다.
주요 성분 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의 경우 1인당 처방량은 2022년 대비 유사했지만, 처방환자 증가로 처방량은 전년도에 비해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의료용 마약류 ▲생산량은 17억 8,235만 개(3,224억 원) ▲수입량은 3억 3,973만 개(1,209억 원) ▲수출량은 1,350만 개(158억 원)로 파악됐다. 이는 2022년 대비 ▲생산량 약 2억 373만 개 ▲수입량은 6,768만 개 ▲수출량은 167만 개가 감소한 것이다.

(사진=의정부성모병원)
이해국 가톨릭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심각해지고 있는 마약 문제는 의료용 마약류의 오남용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며, "마약 중독은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므로, 마약류 취급정보의 맞춤형 분석결과를 의료기관에 제공해 처방 시부터 적극적 예방을 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매년 약 1억 3,000만 건에 달하는 '마약류 취급보고 정보'를 분석해 의료용 마약류 안전 사용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오남용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와 함께 중독치료와 사회재활에도 지원할 방침이다.
※ 마약 중독은 벗어날 수 있는 질병입니다. 마약류 중독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다면, 24시간 마약류 전화상담센터 ☎1342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