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임동현 기자)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위치한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를 '국가유산'으로 등록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21일 열린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박강산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서울시는 김 전 대통령 사저를 건축물이아닌 기념물 형태로 신속히 심의하고 의결해야한다"며 동교동 사저의 '국가유산 등록'을 촉구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마포구는 동교동 사저가 한 개인 사업자에게 매각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훼손될 우려가 생기자 보존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로 서울시에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후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제9차 서울특별시 국가유산위원회 기념물분과 회의를 열어 10명의 위원이 해당 내용을 심의했지만 보류 판정을 내렸다.
박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당시 회의 속기록에 따르면, 현장조사에는 건축분과 2명, 관계 전문가 2명 등 총 4명이 참여했고 이 중 3명이 '한국정치사와 민주화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이 있었던 장소'라며 등록 의견을 냈고 나머지 1명은 근현대 문화유산 조건인 '건축물의 50년 연한'이 되지 않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지난 11일 KBS 보도를 통해 "동교동 사저 건물은 물론 주변 터 등을 포함해 기념물 형태로 심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추가 조사와 서울시의 결정, 국가유산청의 최종 심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강산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은 실제로 동교동 사저에서 1961년부터 거주했으나 철거 및 재건축으로 등기부등본상에는 2000년 건축으로 표기되어 있다"면서 "서울시는 언론을 통해 입장을 밝혔듯이 건축물이 아닌 기념물 형태로 신속히 심의하고 의결해야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의 난세에서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한 김대중 전 대통령을 기념하고 추모하는 일은 그 어느 때보다 시의적절하다"면서 "서울시도 마포구 못지않게 전향적으로 나서주길 요청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