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올해 첫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으로 제주특별자치도 및 전라남도에서 확인됐다"면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4~26일 제주특별자치도 및 전라남도에서 채집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청은 "제주 및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전년 대비 상승하면서 모기 활동이 빨라진 결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정점을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뇌염에서 회복되더라도 환자의 30~50%는 손상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2012년 이후 출생자에게 일본뇌염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백신 종류에 따라 2회 또는 5회로 상이). 접종 가능한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국가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적극 권고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의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활동 예정인 경우 ▲일본뇌염이 유행하지 않는 지역에서 이주해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 국가(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필리핀 등)를 여행할 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예방접종(유료)을 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