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자년, 서낭당(성황)의 길을 걷다
경자년, 서낭당(성황)의 길을 걷다
  • 배동현 칼럼니스트
  • 승인 2020.01.15 15:2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인 고산정 배동현
▲시인 고산정 배동현

 (내외방송=배동현 칼럼니스트) 마을입구의 서낭당은 마을끼리 돌싸움을 하던 부족국가시대의 ‘병참기지 였다. 그것이 지금은 비록 무속화 되었다고는 하지만, 서낭당은 당초부터 미신이 아니라 원시 부족 국가 시대의 석전(石戰)으로 부락을 방어하던 무기(돌멩이)의 저장소였다. 요즘의 표현을 빌려 말한다면 일종의 병참(兵站)기지였다.

우선 서낭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그것은 한자의 성황(城隍)이 음운 변화를 일으킨 것이다. 성(城)이라 함은 글자 그대로 성이며, 황(隍)이라 함은 성을 쌓고서도 미덥지 못해 그 주변에 팠던 물길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낭은 본시 부락 방어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역사적 문헌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예컨대 신라는 왜구의 침략이 있을 때면 돌멩이 부대를 조직해 적을 격퇴했다고(‘삼국사기’ 자비왕2년4월)전해 온다. 고구려에는 당나라 군사에 대항하기 위해 특별히 조직된 돌멩이부대가 있었다(‘삼국사기’보장왕 4년5월). 고려 시대에는 석투군(石投軍)이라는 정식 군사 조직이 있었다. (‘고려사’),조선조에는 성황도감(城隍都監)이라는 부대를 두어 정기적인 돌 던지기 훈련을 실시했다.(‘태종실록’ 6년6월). 남한에서 서낭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은 남한산성(南漢山城)의 동북쪽인 마천동(馬川洞. 돌무데기마을) 거여동 일대의 산기슭과 거제도(巨濟島) 장승포(長承浦) 일대의 옥포만(玉浦灣) 해안으로 알려져 있다.

남한산성에 이토록 서낭이 많은 것은 병자호란(丙子胡亂)과 무관하다고 볼 수는 없고, 장승포에 요새처럼 서낭이 늘어서 있는 것은 이곳에 왜구의 피해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순신의 첫 해전이 이곳에서 벌어진 것도 우연은 아니었으리라고 생각된다.

서낭의 전투적 성격이 가장 잘 보전되어 있는 곳은 역시 행주산성(幸州山城)이다. 행주산성 동남쪽 기슭, 즉 한강의 북안이 되는 덕양산의 남동쪽 기슭에는 돌싸움의 유적이 그래도 남아 있다, 우리가 구전으로 들어오던 행주산성의 아낙네들이 행주치마에 돌멩이를 싸서 날랐다는 것은 단순한 미담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의 한강 바닥에는 사구(砂丘)가 형성되어 한강 하류 중에서 깊이가 가장 얕아 임진왜란 당시의 왜군이나 6.25전쟁 당시의 북한군도 이곳을 도강(渡江)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서낭의 군사적 기능은 병기 기술의 발달과 특히 화약과 총포의 발명으로 서서히 사라졌다. 민속놀이로 그 잔영(殘影)이 남아 있는데 1960년대까지만 해도 시골에서 정월 대보름날의 불꽃놀이 행사로 볼 수 있었던 아래 윗마을의 돌싸움이 그 대표적인 예였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돌싸움 행사는 만리동(萬里洞) 고개의 돌싸움이다. 1900년대 초엽의 선교사 기록에 따르면 구경꾼이 3만~4만 명이었고 싸움꾼만 9000명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싸움에서 이기는 마을에는 풍년이 들고 지는 마을에는 흉년이 든다고 믿었기 때문에 싸움은 치열했다. 사망자가 발생하는 일은 흔히 있었고, 부자(父子)가 갈려서 싸워도 양보하는 일이 없었다.

서낭의 성격을 알기 위해서는 그 위치를 주목해야 한다. 서낭은 반드시 마을로 들어가면서 거치지 않을 수 없는 요로에 위치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것이 제신(祭神)이나 제천(祭天)이나 제산(祭山)을 위한 것이었다면 한적하고 높은 곳에 위치할 일이지, 사람이 번잡하게 왕래하는 동네 어구에 위치할 이유가 없었다. 그리고 그것이 제단의 의미였다면 돌멩이의 크기가 더 클 수도 있는 일이지 꼭 던지기에 알맞아야할 이유가 없었다.

당초에는 무기 저장고였던 서낭이 무속화 과정을 겪게 된 것은 그 신성성(神聖性) 때문일 것이다. 전쟁을 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생각은 죽음에 대한 공포와 승전에 대한 소망이다. 그래서 고대인들은 출전에 앞서 동네 입구에서 전쟁에서 승리를 바라는 전승기원(戰勝祈願) 의식을 거행하는데 이 때 부터 서낭이 무속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또 서낭이 있는 그 동네 입구를 잘 지키느냐 못 지키느냐에 따라 그 마을의 안녕이 달려 있었기 때문에 이곳을 성역처럼 생각하면서 신성(神聖) 개념이 발전됐다 하겠다.

서낭이 무속화 된 이후 부락 사람들은 서낭 앞을 지날 때면 몇 가지 지켜야 할 의식을 갖게 되었다. 예컨대 일단 고개를 숙여 절을 올리는데 이는 성소(聖所)에 대한 공경의 의미를 갖는다. 떡과 같은 음식을 바치는 것은 물신(物神)에 대한 향응의 뜻을 가진 것이며, 침을 뱉는 것은 그 곳에 모여 있을지도 모를 잡신을 떨쳐버리기 위함일 것이다. 까치발을 세 번 뛰거나 짚신을 갖다 놓는 것은 여행의 안전을 비는 것이다. 그밖에도 임신한 여인이나 생리 중인 여인은 그곳을 지나가지 못하게 하는 금기의 풍속도 있다, 성소이므로 그 앞에서는 말에서 내려 걸어가는 것이 관례였다.

민속만큼 민족의 정서를 절실하게 표현하는 것은 없다, 서낭의 무분별한 훼손은 방지해야 한다. 만일 당신이 도심에서 서낭을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아름다운 풍경일까. 문명과 원시의 절묘한 조합이 서낭당 일 것이다.

배동현 칼럼니스트
배동현 칼럼니스트 다른기사 보기

오늘의 이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 : (주)내외뉴스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690
  • 인터넷신문등록일자 : 2017년 09월 04일
  • 발행일자 : 2017년 09월 04일
  • 제호 : 내외방송
  • 내외뉴스 주간신문 등록 : 서울, 다 08044
  • 등록일 : 2008년 08월 12일
  • 발행·편집인 : 최수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3 (뉴스센터)
  • 대표전화 : 02-762-5114
  • 팩스 : 02-747-534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유진
  • 내외방송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내외방송.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nwtn.co.kr
인신위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