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대선 마지막 도전 시사해 당대표 출마 여부 불투명

(내외방송=박용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이 9일로 예정된 가운데, 이번 기자회견에서 '채 해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대승적으로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여당에서 제기됐다.
국민의힘 소속 유승민 전 의원은 오늘(7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이번 총선에서 수도권, 중도층, 청년층에서 참패를 했는데 먹고사는 문제를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면 총선결과가 많이 바뀌었을 것"이라며 민심과 여론에 귀를 기울이지 못했음을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이어 "양곡관리법이나 노란봉투법 등 정책적인 부분에서 분명한 이유가 있으면 선택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면서도, "대통령 본인과 부인하고 관련된 법치의 문제에 대해 철저한 자기 반성과 사과, 새로운 국정 기조에 대해 밝히면 국민들 마음이 돌아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유 전 의원은 황우여 비대위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유 전 의원은 "황우여 비대위원장이 말하는 보수 결집과 보수의 가치에 매달려 있으면 앞으로 선거는 대선이든 총선이든 해보나마나 필패일 것"이라며, "당도 대통령도 전혀 변화하지 못하는 마당에 진짜 당을 재건할 수 있을지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국민의힘을 변화시키기 위해 차기 당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출마와 관련해서는 가능성을 남겨두면서도 신중한 입장을 드러냈다.
유 전 의원은 "고민할 수밖에 없는 문제고 굉장히 깊이 고민하고 있다"면서도, "당 대표가 되고 안 되고를 떠나 당의 변화를 위해 전당대회에 도전하는 게 진짜 의미가 있느냐의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답해 당이 변화할 의지와 희망이 있다면 도전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지난 전당대회에서 (나경원 전 의원을 향한) 연판장도 나오고, 당원 100% 선출방식으로 퇴행한 것이 결국 윤 대통령의 1인 사당화를 만들었고, 그 결과가 이번 총선 성적표에 그대로 나왔기 때문에 이번에 진짜 당 구성원들이 진짜 변화해야겠다는 생각을 할지를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전당대회 룰 방식 때문에 출마여부를 결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유 전 의원은 "제가 남은 도전이라고는 2027년 대선 딱 하나"라고 밝혀,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되지 못할 경우 대선 도전이 어렵다고 판단해 당대표에 불출마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