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중국의 '대륙굴기', '일대일로', 일본의 '독도침탈야욕', '김치전쟁' 등 역사왜곡으로 인해 국민이 공분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민간단체와 손잡고 이를 공동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17일 서울 덕수궁 석조전에서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접국의 역사·문화재 왜곡에 공동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반크(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는 외국인들에게 한국과 한국인을 바르게 홍보한다는 목적으로 지난 1999년 만들어진 사이버 민간단체다.
반크는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거나 독도를 일본영토로 인식하고 있는 국가들의 정부에 지속적인 '바로잡기' 작업을 벌여왔으며 최근 고구려의 역사를 중국사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반기를 들어왔다.
반크는 특히 그간 한국의 청소년, 청년들과 해외 동포들을 사이버 외교관이자, 한국홍보대사로 양성해 세계에 한국을 바로 알리는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문화재청은 반크의 이러한 활동들이 유네스코 청년 지킴이 등 청년활동을 장려하고 민간역량 활용을 통해 역사왜곡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모색하고 있는 문화재청의 정책방향과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 홍보대사 양성사업 ▲청년 유네스코 지킴이 등 문화재 지킴이 단체와의 역사왜곡 공동대응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협업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올바른 역사문화 의식 확산을 위한 '문화유산교육' 운영과 '문화유산교육 콘텐츠 보급' 등을 중점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에 대한 풍부하고 정확한 정보를 가진 문화재청과 역사왜곡 대응 경험과 비결을 겸비한 반크의 공동 대응은 국내외 역사 인식을 바로 잡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크와의 협약 이외에도 일명 문화재 의병이라 일컫는 '문화재지킴이'단체들과도 연대·협력하고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의 운영도 지원해 청년·시민사회와의 협력방식으로 자발적이고 체계적인 홍보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문화재청 소속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협력프로그램으로‘역사왜곡 시정 교육과정’과‘우리 문화재 바로 알리기’를 개설·운영하여 문화유산 교육 활성화에도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문화재청은 문화재와 역사왜곡 대응에 필요한 홍보역량과 우리 문화유산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 등 국제적 협력 기능과 조정 역할을 수행할 조직 강화를 위해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